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시황

<4차산업혁명 은행 "변해야 산다"> (1)핀테크(Fintech)

2008년 2013년 부문별 핀테크 투자자료=CB Insights(2014)



"변하지 않으면 죽는다."

한국경제의 젓줄인 은행산업을 위기라 말한다. 당장 비금융기업들이 앞다퉈 금융업에 눈을 돌리면서 금융테크(Fintech)시장을 만들어 냈다. 또 사물인터넷의 성장과 빅데이터, 인공지능(AI)의 출현은 금융시장에 적잖은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정부는 개혁을 주문하고 있다. 달라진 은행환경과 생존 과제를 고민해 본다.

'핀테크(FinTech·금융과 정보기술의 융합)'. 최근 몇 년 새 은행이나 사회 전체에 쓰나미 처럼 다가온 말이다. 정장 차림의 뱅커 대신 청바지 차림의 벤처인이 금융시장의 중심에 설 날도 머지 않아 보인다. 매킨지 보고서는 핀테크 기업의 전방위적인 침투로 은행업이 중대한 위협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한다. 삼성 등 대기업들이 이 시장에 뛰어들었지만 아직 '우물한 개구리' 수준이란 평가다.

◆핀테크(Fintech), 새로운 기회와 경쟁이 공존

16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전세계 핀테크 시장은 무려 112억달러다. 1년(2013년 29억7000만 달러) 만에 4배 가까이로 늘었다.

'미완의 대기' 핀테크가 삶에 서서히 뿌리내리고 있다는 의미다.

기업 가치가 10억달러 이상인 금융 스타트업 업체 수도 2014년 1월 2개에서 2016년 2월 16개로 크게 늘었다.

핀테크 스타트업의 대표적인 중심지는 영국. 글로벌 컨설팅 전문기업 엑센츄어에 따르면 2013년 한해 미국 실리콘밸리에 투자된 금융테크 자금은 950만달러인 반면 영국과 아일랜드에 대한 투자규모는 780만달러에 그쳤다. 규모는 미국이 훨씬 크다. 그러나 성장률을 보면 사정이 달라진다. 지난 2013년 영국과 아일랜드의 금융테크 투자 규모 성장률은 600%를 웃돌았다. 실리콘밸리의 성장률(190%)보다 가파르다.

요들리, 모벤 등 미국 금융테크 벤처들은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통해 하나의 화면에서 모든 금융계좌 정보를 확인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구글, 페이팔, 알리바바, 텐센트 등 세계적인 정보기술(IT) 기업들도 지급결제 시장에 참여하고 있고, 금융상품 판매나 송금 등 은행업 면허를 받았거나 받기 위해 준비 중이다. 넛맥, 블루스피크파이낸셜 등은 개인자산관리 서비스 시장에 진출했다.

핀테크가 성장하면서 지급결제에 한정돼 있던 핀테크 영역도 다양해지고 있다.

지난 2008년에는 지급결제 부문에 대한 투자 비중이 70%로 가장 높았지만 2013년에는 28%로 줄었다. 반면 금융 소프트웨어 부문에 대한 투자 비중은 2008년 10%에서 2013년 29%로 증가했다. 금융데이터 분석 부문의 비중도 같은 기간 16%에서 29%로 늘었다. 플랫폼 부문에 대한 투자 비중은 5%에서 14%로 빠르게 증가했다.

맥킨지에 따르면 오는 2025년 세계 은행업 전체 매출은 3950억달러로 올해(6740억 달러)보다 40%, 이익은 60% 줄어든다. 매출 감소의 핵심 원인은 수수료 인하(2650억 달러)이다. 기존 은행이 핀테크 기업에 고객을 뺏기지 않기 위해 수수료를 낮출 수밖에 없다는 근거에서다.

기존 은행업 시장 규모도 축소(140억 달러)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재은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원은 "기존 은행이 핀테크와의 경쟁에서 생존하려면 기술혁신뿐만 아니라 모든 서비스를 고객 중심에서 다시 생각하는 문화혁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엑셀러레이터 육성 우선돼야

국내 시장에서 핀테크의 주역은 '삼성페이'. 삼성페이 가입자는 이미 300만명을 넘어섰다. 편리성도 강력한 무기다. 삼성페이는 지문만 등록하면 비밀번호 입력 등 인증 절차 없이 바로 ATM에서 입출금할 수 있다

카카오는 카카오페이 가입자 현재 820만명, 연내 1000만명 돌파가 예상된다.

인터넷전문은행도 조만간 출범할 예정이다. 그러나 새로 출범할 인터넷전문은행이 과연 정부와 업계의 바람대로 장밋빛 미래를 가져다 줄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강력한 규제 때문이다.

연말로 예고된 인터넷은행 사업자 선정은 현행 은행법상 '은산분리'(은행과 산업자본 분리) 규제 아래서 이뤄진다. 정부는 정보통신기업이 최대주주가 될 수 있도록 인터넷은행에 한해 산업자본의 지분 보유 한도를 50%로 확대하는 은행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지만 시민 단체 등이 반대하고 있다. 이는 사업 주도자와 최대주주가 다른 불안한 지배구조로 사업 전략에도 차질이 예상되는 대목이다.

영남대 김정균 교수는 "기존 은행의 지점을 축소하고 효율적인 온라인·모바일뱅킹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은 물론 필요하지만 충분하지는 않다"면서 "은행은 소극적으로 기존 업무영역을 방어하는 것을 넘어서 소비자 경제활동 전반에서 더 큰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핀테크 산업이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혁신적 금융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장우석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가 혁신적인 IT 기업들과 기존 금융기관의 의견을 수렴해 금융 서비스 규제를 둘러싼 논의와 협력을 주도하고, 핀테크의 활성화의 핵심인 보안 강화를 위해 기술적, 법·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