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 세계 조선 경기 불황으로 인해 200개의 조선소가 문을 닫게 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4일 양형모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덴마크의 선박금융기관인 'Danish ship finance'(DSF)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 '5월 해운시장 리뷰(shipping market review)' 내용을 소개했다.
보고서는 올해 조선 경기 악화로 전 세계적으로 200개 조선소가 폐업해 올해 말에 530곳밖에 남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DSF는 "조선 주문 취소와 납기 연장, 신조선 발주량 감소로 인한 물량 부족과 재무구조 악화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또 현재 수주잔고 중 약 45%가 올해 인도되고나면 일감이 동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DSF는 일감이 1년 치도 남지 않은 조선소가 340곳에 이르며 이 중 4분의 3이 올해 말 수주잔고가 '제로'(0)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조선 업체 중 약 52%가 수주잔량의 90%를 올해 인도하기로 돼 있고, 중국 조선업의 오더북(Order book: 수주잔량) 70%는 납기 연장 위험이 있다고 DSF는 진단했다.
양형모 연구원은 "올해부터 전 세계 조선소의 구조조정이 본격화돼 내년까지 대부분의 조선소가 문을 닫을 것"이라며 "이는 우후죽순 생겨난 조선산업의 생산능력이 조정돼 정상화되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양 연구원은 "한번 문을 닫은 조선소가 재정비 후 조선 산업에 진출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국내 조선업계의 구조조도 본격화되고 있다.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조선 3사는 최근 사별 자구계획을 주채권은행들에 각각 제출했다.
자구안이 예정대로 시행될 때 거둘 수 있는 재무개선 효과는 3사를 합쳐 6조원대에서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9월 현대차 지분(5000억원 상당)을 매각하는 등 2조원이 넘는 자산을 처분했고, 삼성중공업은 이달 12일 두산엔진 지분 전량을 373억원에 팔았다. 특히 작년 한해 5조5000억원의 천문학적 적자를 낸 대우조선은 서울 본사 사옥까지 1800여억원에 내놨다. 팔 수 있는 비핵심 자산은 최대한 정리하겠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