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모바일 대리운전 호출 서비스 '카카오드라이버'를 31일 정식 출시해 대리운전 업체 등 관련 업계 반발이 예상된다. /카카오
[메트로신문 오세성 기자] 모바일 대리운전 호출 서비스 '카카오드라이버'가 정식 서비스를 시작해 업계파장이 예상된다.
카카오는 대리운전 기사 호출과 결제를 할 수 있는 승객용 카카오드라이버 애플리케이션을 31일 출시했다.
그간 대리운전 기사는 운행요금의 20~40%를 업체에 운행 수수료로 내고 연 100만원 이상의 보험료와 월 4만~5만원의 프로그램 사용료를 부담했다. 운행 수수료 외에도 호출이 취소된 경우 취소 수수료를 별도로 내는 등 여러 비용이 대리기사 몫이었다.
카카오는 대리기사에게 예치금과 취소 수수료, 보험료 등을 받지 않고 운행요금의 20%만 수수료만 받으며 업계 최고 수준의 보험 상품과 프로그램을 무상 제공하기로 했다. 카드결제 수수료와 부가세도 카카오가 부담한다. 요금 결제는 카드자동결제방식을 적용해 투명한 사업을 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렇게 되자 대리운전 업체와 대리운전 프로그램 업체가 골목상권 침탈이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지난 3월 대리운전 사업자와 기사 등이 '대리운전상생협의회'를 발족해 "대기업이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골목상권 전체를 먹잇감으로 여겼다"며 사업 확장을 철회하라고 요구한 바 있다.
카카오는 대리운전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프로그램 제공업체 등과 시장 운영 방안에 대해 협의했지만 합의에는 실패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O2O 비즈니스는 세계적 흐름"이라며 "서비스 출시 전부터 대리운전 업체와 협의를 해온 만큼 앞으로도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카카오가 O2O 서비스로 골목상권을 침해한다는 논란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앞서 출시된 '카카오택시'가 중소 콜택시 업체의 수익성 악화를 가져왔다는 관련 업계 비판이 있고 미용서비스 '카카오헤어샵', 가사도우미 '카카오홈클린' 등이 출시를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카카오는 카카오드라이버 기본요금을 1만5000원으로 책정하고 운행거리와 시간에 따라 1000원 단위로 추가 요금을 산정할 계획이다.
6월 한 달은 이용자에게 요금 1만원 할인쿠폰을 최대 10회 제공해 서비스를 확장한다. 승객은 앱에 미리 등록한 카드로 이용요금을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으며 실시간 요금도 확인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