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버워치가 빠른 게임 속도, 다양한 전략성, 화려한 볼거리를 무기로 PC방 왕좌를 두고 리그 오브 레전드를 위협하고 있다. /블리자드엔터테인먼트
[메트로신문 오세성 기자] '리그 오브 레전드'(LoL, 롤)가 지키던 PC방 왕좌가 203주 만에 '오버워치'에게 무너졌다.
19일 PC방 게임 조사업체 게임트릭스에 따르면 블리자드가 출시한 오버워치가 17일 PC방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18일에는 리그 오브 레전드가 다시 1위를 회복하며 두 게임이 양강 구도를 형성하는 모습이다.
17일 오버워치는 PC방 점유율 29.36%를 기록하며 출시 25일 만에 1위로 올라섰다. 라이엇 게임즈의 리그 오브 레전드 점유율은 29.17%로 203주 만에 2위로 내려앉았다. 두 게임의 점유율 차이는 0.19%였다. 오버워치는 미래형 일인칭 슈팅게임(FPS)이다. 출시 당일이던 지난달 24일부터 PC방 점유율 11.7%를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40%가 넘는 점유율로 4년 넘게 압도적 1위를 달리던 리그 오브 레전드의 점유율은 이 때부터 30%대로 떨어졌다.
18일 리그 오브 레전드는 점유율 29.79%로 1위를 탈환했지만 2위 오버워치(29.63%)와 점유율 차이가 0.16%에 불과하다. 18일 타 게임의 점유율은 3위인 서든어택은 9.32%, 4위 피파온라인3는 6.18%, 던전앤파이터 2.83%이기에 사실상 두 게임이 양강 구도를 짠 셈이다.
오버워치는 글로벌 이용자 1000만명을 넘어설 정도로 해외에서도 인기가 높다.
지난 16일 열린 게임 수출상담회 '이츠 게임 2016'에서 펄어비스 함영철 실장은 "북미·유럽 지역에서 높은 인기를 얻던 동시접속역할분담게임(MMORPG) '검은사막'의 접속자가 갑자기 줄어든 적이 있다"며 "알고 보니 오버워치 서비스가 시작된 여파더라"고 말하기도 했다.
오버워치는 인간, 고릴라, 천사, 로봇 등 다양한 캐릭터를 선택해 5~15분 동안 빠른 게임을 진행한다. 워크래프트, 디아블로, 스타크래프트 등 명작을 출시한 블리자드가 개발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특히 스타크래프트는 국내에서 1년 이상 PC방 점유율 1위를 차지했고 현재도 10위권 이내를 지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팀 경쟁을 기반으로 다양한 캐릭터 조합, 맵에 따른 전투 방식 변화 등으로 전략적 요소가 많고 볼거리도 다양해 e스포츠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