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 안타까운 소식이 들려왔다. 90년대 한국 역도계를 대표했던 스포츠 스타 김병찬이 획득한 메달 10여개와 상장이 고물상으로 갈 뻔한 사실이 뒤늦게 전해진 것이다.
1990년 베이징아시안게임에서 역도 금메달을 목에 걸었던 김병찬은 지난해 6월 강원도 추천의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돼 안타까움을 남겼다. 1996년 불의의 교통사고로 하반신이 마비되면서 선수 생활을 마친 그는 변변한 수입 없이 매달 52만5000원의 연금으로 생계를 이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세상을 떠난 뒤에도 여전히 그의 집에 남겨져 있던 메달들은 고물상으로 갈 뻔한 위기에서 가까스로 벗어나 7월 새로 지어지는 강원도 체육회관에 전시될 예정이다.
땀과 노력으로 태극마크를 달고 국제무대에서 뛰어온 국가대표 선수들은 은퇴와 함께 제2의 인생을 살아야 한다는 부담과 마주하게 된다. 21일 대한체육회가 2014년 은퇴 선수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에 따르면 약 36.97%의 선수들이 은퇴 이후 마땅한 직업을 갖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스포츠 관련 종사자도 23.6%에 불과했다.
이런 국가대표 선수들의 제2의 인생을 위해 국가대표 선수들이 직접 모임을 만들었다. 바로 대한민국국가대표선수회(이하 국가대표선수회)다. 스포츠인의 화합, 그리고 사회 봉사 활동을 통한 스포츠의 대중화를 목적으로 2011년 출범한 모임이다.
국가대표선수회는 국가대표 출신 선수들의 재능을 사회에 기부함으로써 선수들에게는 제2의 인생을 살아갈 길라잡이 역할을, 그리고 대중에게는 보다 스포츠를 즐겁게 향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경기장 위에서 희망과 감동을 전한 국가대표 선수들은 이제 경기장 밖에서 국민의 사랑을 보답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