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시황

누가 이들을 국책은행 수장에 앉혔나? 정권 보은인사의 비극

1조8951억원. KDB산업은행이 지난해 기록한 당기순손실이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사태가 터졌던 1998년의 4조8894억원 이후 가장 큰 폭의 적자다. 산업은행은 "조선·해운 등 취약업종의 업황이 악화하고 구조조정 기업에 대한 출자전환 등을 하면서 대규모 충당금을 쌓고 주식가치가 떨어지며 손실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 내면에는 CEO들의 경영능력 부재에 있었다는 지적이다. 산업은행 회장 자리가 정권이 바뀔 때마다 보은 인사로 낙점된다는 건 공공연한 비밀이다. 청와대와 정부의 입김에 의해 낙하산 인사가 채워지다 보니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것.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홍기택 전 회장은 박 대통령과 서강대 동문이다. 그는 대선 후보 시절 대통령 인수위원을 맡아 박 대통령을 도왔다.

그 스스로 낙하산을 자처하기도 했다. 홍 전 회장은 2013년 한국산업은행 국정감사에서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제가 낙하산으로 왔기 때문에 오히려 제가 부채가 없다"면서 "오히려 제가 어떤 의미에서 적임자까지는 아니지만 (그렇게) 할 수 있는 여지가 있을 수 있지 않나…"라는 주장을 폈다.

그는 2013년과 2015년에 산업은행에 각각 순손실 1조4474억원, 1조8951억원을 안겼다.

민유성 전 회장은 차관급이 낙하산을 타고 오던 산업은행에 영입된 최초의 민간인 CEO다.

그런데 노조는 그를 왜 낙하산 인사라고 했을까. 이명박정부 시절의 금융계 핵심 실세 그룹은 우리금융 출신. 금융계에서는 '동지상고 위에 우리금융이 있다'라는 말까지 있었다. 이팔성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 전광우 전 금융위원장, 박해춘 전 국민연금관리공단 이사장, 이종휘 전 우리은행장, 송기진 전 광주은행장 등이 모두 우리은행 출신이다. 민 전 회장도 그 중 하나다. 우리금융에서 재무총괄 부회장을 역임했다.

그는 자신을 낙하산 인사라며 비난했던 노조를 적극 포용하며 임직원과의 스킨십을 쌓기도 했다. 2008년 당시 행장 취임 이후 100일 만에 직급을 망라한 800여명의 임직원들과 식사를 같이했던 일화도 있다.

민 회장의 2008년 행적을 얘기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행보'는 산업은행의 리먼브러더스 인수 협상이다. 민 행장은 리먼브러더스가 파산 신청을 하기 직전, 리먼브러더스 인수를 극비리에 추진하다 포기했다. 이를 두고 시장 안팎에서는 '산업은행이 무리한 인수로 큰 위기를 자초할 뻔했다는 지적이 일었다. '허송 세월만 보냈다'는 비난과 '해볼 만한 딜이었다'는 긍정론으로 나뉘기도 했다.

민 전 회장은 재임시절 대우조선해양 매각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일각에서 그 역시 대우조선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은 지난 23일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작금의 상황은 모두 산은의 역사이기 때문에 어떠한 이유에서라도 현직인 저의 책임이 가장 무겁다"며 "이번 일을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아 사즉생의 각오로 전면적 쇄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