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영화

'비밀은 없다' 이경미 감독 "새로운 시도 속 대중과 소통 바라죠"(인터뷰)

영화 '비밀은 없다'의 이경미 감독./손진영 기자 son@



'비밀은 없다'(감독 이경미)는 개인적으로 올해 본 한국영화 중 가장 흥미로운 작품이다. 아직 1년의 절반 가량이 남아 있지만 그럼에도 이 사실은 변하지 않을 것 같다.

개봉 전까지만 해도 영화는 딸을 잃어버린 국회의원 부부의 이야기를 그린 정치 스릴러로 소개됐다. 그러나 정작 뚜껑을 열어보니 영화 속에는 예상하지 못한 요소들이 한데 뒤섞여 있었다. 상업영화에서는 쉽게 할 수 없는 독특한 시도들이 영화 곳곳에 녹아든 점 독특한 작품이었다.

물론 이 영화에 모두가 찬사를 보낸 것은 아니다. 시시각각으로 바뀌는 영화의 '톤과 매너' 때문에 영화를 보는 게 힘들다고 말하는 이도 있었다. 그러나 오히려 영화의 종잡을 수 없는 분위기가 매력적이었다.

극 중반을 기점으로 이야기의 방향과 분위기도 전혀 달라지는 영화지만 그런 가운데에서도 영화가 무엇을 이야기하고 싶은지는 분명히 알 수 있었다. 딸에 대해 많은 것을 알고 있다고 믿었으나 정작 아무 것도 알지 못했던 엄마, 그리고 따돌림 속에서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시련을 이겨내고자 하는 소녀들의 이야기. '비밀은 없다'를 좋게 본 것은 정교하게 짜인 이야기 속에서 자신만의 색깔로 주제를 풀어나가는 연출력 때문이었다.

영화 '비밀은 없다'의 이경미 감독./손진영 기자 son@



'비밀은 없다'는 2008년 첫 장편영화 '미쓰 홍당무'를 연출한 이경미(44) 감독이 오랜 창작의 고뇌를 견뎌내며 완성한 작품이다. '미쓰 홍당무'를 마친 뒤 쓰기 시작한 '여교사'라는 작품이 모티브가 됐다.

"'여교사'는 노인 사이코패스와 여자 정치인 부인 사이의 이야기를 그린 액션 스릴러였어요. 원래 스릴러 장르를 좋아하는데다 그 당시에 미야베 미유키 같은 일본 추리 소설을 좋아했거든요. 긴장감을 주는 테크닉도 좋아하는 편이라서 '미쓰 홍당무'에 이은 다음 작품으로 스릴러를 생각하고 있었어요."

그러나 시나리오 작업은 생각만큼 쉽지 않았다. 장편 데뷔 이후 갖게 된 강박 때문이었다. "대중적으로 좀 더 많은 사람이 볼 수 있는 영화를 해야 한다는 강박이 있었어요. 그러다 보니 제가 보기에도 만족스러운 시나리오가 안 나오더라고요. 대중성을 생각하다 보니 자기 검열이 심해져서 점점 더 힘들어졌어요."

힘든 시기를 보내는 순간 '미쓰 홍당무'을 제작했던 박찬욱 감독이 구원투수로 등장했다. '여교사' 시나리오의 일부를 새로운 이야기로 만들어보자는 제안이었다. 그렇게 노인 사이코패스 대신 정치인 부인과 그 딸의 이야기를 그린 '불량소녀'라는 시나리오가 완성됐다. 그리고 이 시나리오는 '행복이 가득한 집'이라는 제목을 거쳐 지금의 '비밀은 없다'로 마침내 세상에 선보이게 됐다.

영화 '비밀은 없다' 촬영현장에서 이경미 감독(왼쪽)과 주연 배우 손예진./CJ엔터테인먼트



'비밀은 없다'가 다루는 중요한 테마는 바로 모성이다. 실종된 딸을 찾는 엄마의 이야기인 만큼 모성이라는 주제가 빠질 수 없다.

그러나 영화 속 모성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게 되는 '하늘 같은 어머니의 마음'과는 거리가 멀다. 극중에서 국회의원 후보 종찬(김주혁)의 아내 연홍(손예진)은 영화 내내 광기와 슬픔, 분노가 뒤섞인 복잡한 감정을 보여준다. 딸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안다고 생각했던 연홍은 딸의 실종 이후 자신이 딸에 대해 아무 것도 몰랐다는 사실과 마주한다. 그 복잡한 마음이 다양한 감정으로 표출되며 영화의 독특한 분위기를 만들어간다.

"시나리오를 쓸 때부터 모성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싶었어요. 엄마가 아이를 잃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모성은 끝까지 생각을 놓지 않은 부분이었죠. 모성에 대한 관심도 많았어요. 저는 아이를 낳아본 적 없지만 주변에 아이를 낳고 기르는 사람들을 보면 모성애를 특별하게 생각하는 것 같아요. 하지만 모성애는 타고나는 것도 있지만 학습되는 것도 있다고 보거든요. '엄마는 헌신적이어야 한다'고 교육되는 것이 엄마를 더 가둔다고 생각해요. 모성애가 상대적으로 없는 것처럼 평가될 때는 죄인 취급을 받기도 하고요. 사람마다 표현 방식이 다른 건데 그걸 다양하게 해석해주지 않는 대표적인 것 중 하나가 모성애죠."

영화를 보고 나면 세 명의 여자 캐릭터가 오롯이 기억에 남는다. 영화의 주인공인 연홍과 연홍의 딸 민진, 그리고 민진(신지훈)과 같은 학교에 다니고 있는 미옥(김소희)이 그들이다.

연홍은 이경미 감독이 만든 캐릭터가 손예진이라는 배우를 만나 생명력을 갖게 된 케이스다. "연홍은 손예진과 함께 함으로써 완성된 캐릭터에요. 촬영 초반에 예진 씨가 보여주는 대사의 톤이 재미있더라고요. 그런 느낌을 살려보자고 싶었어요. 예진 씨가 묘한 경계를 타면서 신비로운 매력으로 연홍을 잘 소화한 것 같아요."

연홍의 딸 민진과 민진과 같은 학교에 다니는 미옥은 처음부터 신인 배우를 캐스팅할 생각이었다. SBS 'K팝스타'를 통해 눈여겨 본 신지훈을 민진 역으로 캐스팅했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진 이야기다. 이경미 감독은 "천사 같은 여자 아이의 노래가 영화 전반을 아우르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신지훈이 딱이었다"며 "직접 OST도 부르고 연기도 하게 됐다"고 말했다.

김소희는 연기 경험이 전무한 상태에서 '비밀은 없다'로 처음 데뷔했다. 이경미 감독은 "오디션 때 예쁘장한 아이가 무심하게 말을 내뱉으며 행동하는 게 매력적이었다"고 캐스팅 이유를 설명했다.

영화 '비밀은 없다'./CJ엔터테인먼트



'비밀은 없다'의 또 다른 매력 중 하나는 바로 음악이다. 두 소녀를 연결시켜주는 조안 페이의 노래 '와일드 로즈 힐(Wild Rose Hill)', 그리고 두 소녀가 만든 밴드 '지니와 오기'의 노래들이 영화를 한층 더 특별하게 만든다.

이경미 감독은 "이들 소녀가 자신들의 비밀을 어떻게 견뎠을지 생각하다 보니 그것을 어떻게든 표출하지 않으면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충분히 예술로 승화시킬 수 있는 상황이라고 생각해서 영화와 잘 어울리는 음악을 하는 것으로 설정했다"고 설명했다. 영화 속 노래는 인디 밴드 무키무키만만수 출신인 정무키가 장영규 음악감독과 함께 만들고 신지훈과 같이 불렀다.

"프리프로덕션 단계에서 우연히 무키무키만만수의 공연 영상을 봤어요. 그래서 무키무키만만수를 벤치마킹해야겠다고 생각하고 스태프들에게 이야기했죠. 그때 다들 뜨악한 표정을 짓던 걸 잊을 수가 없어요(웃음). 무키 씨를 만나서는 이것도 인연인가 싶었어요. 무키 씨가 한예종 출신인 거예요(이경미 감독은 한국종합예술학교를 나왔다). 게다가 '미쓰 홍당무'를 정말 좋아한다고 하고 장영규 음악감독과도 함께 작업한 적이 있다고 해서 '만날 사람은 만난다는 게 이런 거구나' 싶었죠."

영화 '비밀은 없다'의 이경미 감독./손진영 기자 son@



'미쓰 홍당무'에서 이경미 감독은 평범함과 거리가 먼 인물들을 통해 그들의 특별함을 평범함으로 감싸 안았다. 안면 홍조증을 겪는 엉뚱한 여교사도, 왕따를 당하고 있는 학생도 사회에서 그들을 '다르다'고 규정했을 뿐 알고보면 그들도 우리와 다를 것이 없음을 보여줬다.

'비밀은 없다'도 세상이 규정한 것과는 다른 삶을 사는 이들을 이야기한다는 점에서 이경미 감독만의 색깔이 잘 담겨 있다. 이경미 감독은 "사회적으로 규정되는 어떤 기준에 따라 다양한 것들이 인정되지 않는 걸 답답하게 느끼는 편"이라고 말했다. 그의 영화가 기존의 관습을 깨는 전복적인 쾌감을 지니고 있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저는 제가 지루하다고 느껴지는 걸 싫어해요. 예상대로 보여주는 것이나 무의미한 대사도 싫어하고요. 오랜 시간 시나리오 작업을 하면서 스트레스가 폭발한 건지는 몰라도 이번 '비밀은 없다'는 어떻게는 내가 재미있는 걸 하고 싶었어요. 어떤 면에서는 모든 위험한 요소를 다 모아놓은 영화죠. 사회적인 통념을 거스르는 것들을 다 넣었으니까요."

하지만 이경미 감독이 영화를 만드는 것은 자신만의 재미만을 위해서는 절대 아니다. 그는 "새로운 시도를 좋아하지만 동시에 그런 것을 통해 얼마나 많은 사람과 소통할 수 있는지가 나의 가장 큰 숙제"라고 말했다. '비밀은 없다'를 만들면서도 이경미 감독은 스토리가 이해 안 되거나 의도가 전달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주변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고자 노력했다.

이제 막 두 번째 작품을 완성한 이경미 감독은 지금 자신만의 이야기 속에서 대중과 소통할 수 있는 지점을 찾아가고 있다. 물론 그 길은 평탄하지만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시행착오 끝에 그 접접을 발견하는 순간, 우리는 어쩌면 지금껏 겪어본 적 없는 새로운 영화적 경험을 하게 될지 모른다. 이경미 감독의 작업을 계속해서 응원하고 싶은 이유다.

영화 '비밀은 없다'의 이경미 감독./손진영 기자 son@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