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여진에 대한 걱정으로 전세계 금융시장이 휘청였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경제가 오랜 침체속에 있는 가운데 '블랙 스완'(발생 가능성이 거의 없지만 한번 일어나면 엄청난 충격을 주는 사건)이 발생, 여파가 더 클 것으로 보인다.
당장 6일 국내외 금융시장이 대혼란에 빠지며 '블랙 웬즈데이(검은 수요일)'을 연출했다.
브렉시트 여파로 '탈(脫)EU' 목소리가 높아지는 가운데 미국도 대선을 앞두고 공정무역으로 포장한 보호무역 성향을 보이면서 세계 경제 질서가 균열 조짐이다. '현금인출기'(ATM)라는 꼬리표가 붙은 한국 경제도 먹구름이 드리웠다.
이날 코스피는 전날 보다 36.73포인트(1.85%) 내린 1,953.12에 마감, 이틀 연속 하락했다.
하루 만에 24조원 가량의 시가총액이 증발했다.
아시아증시도 일제히 하락했다. 일본 닛케이지수는 2%가까이 폭락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소폭 상승했지만 홍콩 H지수는 급락하고 있다.
대신 안전자산에는 돈이 몰렸다.
한국거래소(KRX) 금시장에서 거래되는 금값은 장중 최고가를 경신했다. 장 중 한 때 한국거래소(KRX) 금시장에서 금 1g은 5만950원까지 오르며 역대 최고가를 새로 썼다. 앞서 금값은 브렉시트 결정을 전후로 23일부터 3거래일 연속 가파르게 올라 2014년 3월 KRX 금시장 개설 이후 처음으로 1g당 5만원을 돌파했으나 이후 브렉시트 공포가 완화되면서 4만9000원선에서 움직였다.
외환시장도 출렁였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10.2 급등한 1165.6원에 마감했다.
일본 엔화 환율은 달러당 100엔선을 위협받고 있다.
영국 파운드화는 뉴욕 외환시장에서 1.29980달러에 거래돼 1985년 6월 이후 31년 만에 1.3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브렉시트'가 한국의 실물 경제에 직접 영향을 줄 가능성은 크지 않다. 그러나 유럽 경제와 엮여 있는 중국이 흔들린다면 한국 등 신흥국의 '도미노 충격'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모건스탠리는 "한국증시는 대외요인에 민감하다"면서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증가는 한국증시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골드만삭스는 "브렉시트의 대외 파급효과는 크지 않아 주요 선진국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약한 경기 회복세로 인해 경기둔화 우려가 높은 일본의 경우 경기침체 발생 가능성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이어 "경제성장세가 약한 북유럽국가들의 경기침체 발생 확률이 확대되고 있음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