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2020년 9조원 규모 VR 시장 열린다

13일 경기 안양시 안양창조경제융합센터에서 HTC 칼랜 콘텐츠 디렉터가 VR 시장 현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오세성 기자



[메트로신문 오세성 기자] "2020년 중국 가상현실(VR) 시장은 550억 위안(약 9조원)규모로 성장한다. 급격히 성장하는 시장에 누가 먼저 깃발을 꽂느냐의 경쟁이 시작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3일 경기 안양시 안양창조경제융합센터에서 '스마트콘텐츠 VR 전략 컨퍼런스'를 열었다. 이 자리에는 VR 업계 선두주자인 삼성전자와 HTC를 비롯해 통신업체 등이 시장 현황과 전망을 공유했다.

◆"VR의 한계는 상상력 뿐… 가능성 무궁"

이 날 첫 강연은 HTC가 맡았다. HTC 칼 랜 콘텐츠 디렉터는 VR 기술과 시장의 가능성을 강조했다. 그에 따르면 현재 VR은 세 가지로 분류된다. ▲구글 '카드보드'와 같이 초점을 추적하는 기초적인 VR ▲'오큘러스리프트'와 같이 앉은 채 영상을 즐기는 시티드(Seated) 방식 ▲HTC '바이브'처럼 일정한 공간(4.5㎡) 내에서 움직이며 사용할 수 있는 룸 스케일이 그것이다.

칼랜 디렉터는 "기기 가격이 3000달러를 넘는 등 아직 경제성이 뛰어나진 않다"면서도 "게임과 영화 등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가상교육, 쇼핑 등에 활용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점차 가격이 낮아지고 제품이 보급될 텐데 VR 생태계 조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콘텐츠 확보"라고 말했다.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VR이지만 개발된 콘텐츠나 관련 개발자 수는 아직 많지 않다. HTC에 따르면 바이브 콘텐츠 개발자는 5000명을 약간 넘는 수준이며 서비스되는 콘텐츠 타이틀도 310개 정도다.

칼랜은 "콘텐츠 만들고 VR 경험 전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라면서도 "기존 PC와 웹 기반 IT환경이 모바일로 변화했다. 그 다음은 VR"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콘텐츠 플랫폼이 변화하는 만큼 새로운 기회가 생긴다는 의미다.

삼성전자 강원도 부장이 VR 시장의 가능성에 대해 강연하고 있다. /오세성 기자



◆"대기업과 스타트업 동일하게 열려있는 기회"

다음 강연은 삼성전자 강원도 무선사업부 모바일인헨싱팀 부장이 이어받았다. 그는 "스마트폰 초기와 같이 누구에게나 기회가 열린 상황"이라며 VR 시장이 시작 단계이기에 누구에게나 가능성이 열려있음을 강조했다.

강 부장은 VR에 대해 "책에서 사진으로, 사진에서 영상으로 전통 미디어가 변해왔다"며 "몰입감을 높이기 위해 진화한 것이고 그 궁극적인 방법으로 도달한 것이 VR"이라고 제시했다.

그에 따르면 전통 미디어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높이기 위해 화면 크기를 키우는 전략을 채택했다. 화면이 커져 시청자의 시야를 많이 채울수록 몰입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VR은 사용자를 360° 둘러싼 화면으로 가상공간을 형성한다. 화면이 시야를 전부 채우기 때문에 현실감이 극대화된다.

강원도 부장은 "VR는 스마트폰 이후 거의 모든 회사가 달려든 카테고리"라며 "영화 등 동영상과 게임, 교육 등 다양한 분야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지만 현재 나온 콘텐츠는 많지 않다"고 밝혔다. 기어VR에 서비스되는 VR애플리케이션은 300개 정도에 불과하다.

◆"9조원 시장 선점 경쟁"

이날 컨퍼런스에서 중국 VR 콘텐츠 플랫폼 기업 87870의 안준한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중국 VR 시장 현황을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중국의 스마트폰 사용자는 6억명이며 VR 시장 잠재 고객은 3억명에 달한다.

그는 "지난달 북경의 초등학교에서는 VR을 활용한 교육을 정식으로 시작했다"며 "2020년 중국 VR 시장 규모는 550억 위안(약 9조원)으로 성장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어 "콘텐츠 공급이 부족해 수준 높은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높다"며 "모두 같은 출발선에서 시작해 아이디어와 기술력을 무기로 누가 먼저 깃발을 꽂느냐의 경쟁이 시작된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