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신문 연미란 기자]'오후 발표→발표 취소→다시 발표.' 정부가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배치 지역 발표를 앞둔 13일 반나절동안 갈지자 행보를 보였다. 발표를 취소했다가 다시 발표하기로 결정하기까지 걸린 시간은 불과 5분.
이날 오전 사드 배치 지역으로 경북 성주가 확정된 이후 군민들의 반발이 격화, 급기야 '상경'을 선언하면서 일정이 꼬인 탓이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정부는 '사드 설명단'을 성주에 급파해 군민들의 이야기를 수렴하고 정부의 입장을 설득할 예정이었다. 주민들과의 만남을 먼저 가진 뒤 오후 3시 예정된 브리핑을 할 생각이었던 셈이다.
하지만 상경한 주민들이 브리핑 시간보다 늦게 도착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정부가 계획했던 '주민 설득 먼저'가 틀어진 것이다.
이 같은 사정은 물론 브리핑 이후에 밝혀졌다. 아무런 설명도 없는 정부 행보에 급기야 사드 배치 부지 결정 자체가 취소됐다는 말이 떠돌았다.
사드를 둘러싼 국방부의 갈지자 행보는 처음이 아니다. 이달 8일 갑작스럽게 사드 배치 결정을 발표한 군 당국은 12일 오후 배치 지역으로 성주가 결정됐다는 사실상 확정적인 보도가 쏟아지자 "아직 확정된 바 없다"며 일축했다. 이 발언은 무려 한민구 국방장관의 입에서 나왔다.
국방부의 예고대로 사드 배치 지역 발표는 진행됐지만 이 같은 혼란은 사드 배치 논란을 더 부추긴 셈이 됐다.
줄곧 비밀주의를 고집하던 정부는 뒤늦게 SNS에 떠돌고 있는 괴담 진화에 나섰다. 괴담은 주로 전자파 영향에 따른 건강 문제 등 안전과 관련된 내용이었다. 정부가 명쾌한 해답을 주지 않으면서 누리꾼들이 흩어진 소문을 모아 확대 재생산에 나선 것이다. 괴담의 진원지가 비밀주의를 고집한 정부에 있는 셈이다.
국방부의 '브리핑 취소 촌극'이 지역민을 먼저 만나기 위한 절차상 번복이라고 하지만 설득력은 없다. 성주 군민 설득이 그렇게 중요한 일이었다면 수 일, 수개월 전 충분한 설득과 설명이 따랏어야 했다.
그러나 정부는 그러지 않았다. 우선순위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사드 괴담은 필연적이다.
북한의 위협에서 우리 국민을 지키는 것은 분명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보안상의 이유를 감안하더라도 설득작업을 소홀히 해 각종 부작용을 초래했다는 지적을 면키 어렵게 됐다. 대외적 안보를 지키려다 국론 분열만 일으킨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