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시황

[원샷법이 몰려온다] ②M&A시장 꽃핀다...기업구조조정 본격화

'원샷법' 도입에 따른 기회요소에 대한 인식 자료=삼정KPMG



'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특별법(원샷법)'은 인수합병(M&A)시장 참여자들의 마음을 설레게 한다. 삼성 현대 등 그룹사들의 지배구조 개편이 본격화될 것이란 기대 때문이다.

원샷법이 시행에 들어가면 규제 완화로 M&A에 따르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어 기업들이 사업구조조정차원에서 M&A를 적극 활용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한다.

M&A는 기업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좋은 통로다. 뛰어난 기술력이나 성장 잠재력을 단숨에 사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글로벌 경기 불안 우려와 맞물려 실제 계약이 성사되기까지는 적잖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일부 전문가는 사는 쪽과 파는 쪽 간 이해관계가 맞지 않아 매물이 장기간 쌓이면 경제 활력도 떨어뜨릴 수 있다고 지적한다.

◆ M&A… 대기업 새 판 짤까

2016년 M&A시장의 키워드는 생존이다. 2014년 말 한화그룹의 삼성 석유화학부문 인수, 2015년 SK C&C와 SK 합병, 제일모직과 삼성물산 합병,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 등이 이런 사례다. '바꾸지 않으면 죽는다'는 기업인들의 절박한 위기의식을 가장 잘 보여준다.

대기업의 계열사 재편 과정에서 벌어지는 M&A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일 국내 한 증권사 IB사업 대표는 "최근 대기업들이 핵심 분야만 남기고 경쟁력이 없는 사업을 주고받고 있다"며 "올해 기업 구조조정과 맞물려 사업 부분이든 기업 부분이든 구조조정이 활발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후계구도와 지배구조 개편 과정에서 군살 빼기는 물론 새로운 성장 차원에서 M&A는 꼭 필요하다.

삼성과 비슷한 고민을 안고 있는 현대자동차그룹과 SK그룹 등의 행보도 주목된다. 시장에서는 비주력 계열사를 매각하거나 국내외 특정 기업을 매입해 특정 계열사를 집중 육성하는 방식으로 승계구도 재편에 대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재벌들의 경영권 승계는 상속문제와 맞물려 있어 M&A를 촉진하는 요인이다. 국내 상속세율은 누진세가 적용되며 30억원 초과시 50%의 세율이 적용된다. OECD 국가 중 캐나다, 호주, 스웨덴 등 11개국은 상속세를 폐지했고, 미국은 상속세율이 40%지만 상속인이 주식을 매각해 차익을 얻을 때 과세하는 과세이연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알짜 매물은 넘쳐 난다.

금융사는 물론 대기업 계열회사와 대우조선해양 등 대형 매물도 많다.

실탄도 넉넉하다. 시민단체 등의 분석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10대 재벌 상장계열사들의 사내유보금은 총 549조6000억원이다. 1년 전보다 9.1%(45조7000억원) 늘어난 수치다. 30대 재벌로 범위를 확대하면 사내유보금은 753조6000억원이다.

이재현 삼정KPMG 전무는 "M&A를 계획하고 있던 기업들의 경우 원샷법 시행에 따른 세제혜택과 자금지원 및 기업 인수·합병 추진시 절차 간소화 등을 기회요소로 인식하고 있다"고 밝혔다.

◆ 명확한 사업 재편 방향부터 수립해야

기업들은 왜 M&A에 관심을 갖는 것일까.

글로벌 포춘(Global Fortune) 1000기업들을 대상으로 집계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최고경영자(CEO)들은 기업 M&A의 주된 목적으로 '혁신(Growth)'과 '생존(Cost Reduction)'을 꼽는다. 레버리지를 극대화한 대마불사(大馬不死)식의 외형성장보다는 기존 주력사업의 영역 내에서 성장과 보완적 M&A전략이 73%를 차지한 것.

하지만 M&A가 만병 통치약은 아니다. 대우건설과 대한통운을 인수한 금호아시아나그룹과 여러 기업을 인수·합병하여 사세를 확장했던 STX그룹이 M&A를 통해 '승자의 저주'에 빠진 대표적인 예다.

전문가들은 바람직한 원샷법 시행을 위해서는 명확한 사업재편 방향성을 수립하고 이해관계자간 공감대를 형성하는 등 대안 마련이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재현 전무는 "글로벌 산업 전망, 환경 변화, 경쟁 및 역학관계 등에 대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명확한 사업재편 방향성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면서 "사업재편 주체 및 정부, 채권자 등 이해관계자간의 충분한 인식이 공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국의 지배구조 특수성 하에서 대주주의 인식전환이 필요하다"면서 "논의 과정에서 노조, 공정거래법 이슈 등 주요 제약 요소에 대한 극복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