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도 넘은 YMCA 자전거 국토종주

한국YMCA전국연맹이 매년 주최하는 청소년 자전거 국토순례가 법규위반과 무리한 운영 등으로 비판을 사고 있다. 사진은 국토순례 중인 청소년들.



"물 좀 주세요."

더위 속 자전거를 타는 아이들이 아우성쳐도 그들을 보호할 의무가 있는 이들은 요청을 들어주지 않았다.

3일 사회관계망(SNS)에서는 한국YMCA전국연맹의 청소년 자전거 국토순례가 무리한 운영을 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한국YMCA전국연맹의 청소년 자전거 국토순례는 지난 2005년 평화통일 운동의 일환으로 시작됐다. 올해는 초등학교 5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 학생까지 청소년 300여명이 참가해 7월 25일부터 지난 1일까지 광주에서 임진각에 이르는 499㎞를 달렸다.

'생명의 물결, 평화의 바람 ? 함께 달리자! 내 힘으로 달리자!'라는 슬로건을 내걸었지만 실상은 이와 다르다는 지적이 나왔다.

◆자원봉사자 생명 위협하는 아찔한 사고 겪어

최근 페이스북에 글 하나가 올라왔다. YMCA 자전거 국토순례에 자원봉사자로 참가했던 고등학생이 YMCA의 무리한 운영에 생명의 위협을 받았다는 내용이다. 글에 따르면 서울 성수고등학교 에코바이크과 재학생 4명은 YMCA가 제공하는 5톤 트럭 짐칸에서 300여대의 자전거를 정비해야 했다. 트럭에는 마련된 정비 공간이 반 평 정도에 불과해 이들은 자전거를 정비하는 트럭과 자전거를 싣고 다니는 트레일러에 2명씩 나눠 탑승했다.

짐칸에 사람이 타는 것은 불법이지만, YMCA는 이에 그치지 않고 트럭 주행 중 자전거를 정비할 것을 요구했다. 이들은 "차가 흔들리고 안전장치가 없어 위험하다"고 항의했지만 "봉을 꽉 잡으면 되지 않느냐"는 핀잔만 돌아왔다. 결국 지난 29일 트럭이 크게 흔들리며 위에 있던 김모군이 균형을 잃고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그는 "뒤에 세워둔 자전거에 찍혀 등을 다쳤다"면서도 "여차하면 차 밖으로 추락해 죽을 수 있었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회상했다.

페이스북에 올라온 YMCA 국토순례단의 자전거 정비 공간. 화물 적재함에 사람이 탑승하는 것은 현행법(도로교통법 제49조 제1항 제12호) 위반이지만 별다른 안전장치 없이 이뤄졌다. YMCA의 안전불감증은 결국 29일 사고로 이어졌다.



◆참가비 66만원, 숙소는 중학교?

본지 취재 결과 행사 참가자들의 불만도 높았다. 인당 참가비가 66만원에 달하지만 대우는 그에 미치지 못했다는 주장이다. 국토순례에 참여했던 박모군은 "숙소 대부분이 낡은 청소년수련관과 유스호스텔이었다"며 "하루에 100㎞ 가까이 자전거를 타는데 푹 쉴 수 있게는 해줘야 하는 것 아니냐"고 하소연했다. 이어 "비가 많이 오던 29일에는 평택의 중학교에서 잤다. 불편해서 내내 뒤척였고 다음 날 온 몸이 욱신거렸지만 어쩔 수 없이 탔다"고 덧붙였다.

국토순례 기간 참가자들이 유스호스텔과 청소년 수련관에 묵은 것은 4일이었다. 평택여자중학교와 공주한옥마을, 한양대학교 에리카캠퍼스 게스트하우스에서 각 하루씩 묵었다. 이들은 국토순례 마지막 날을 제외하고는 모두 60㎞ 이상을 달렸다. 가장 멀리 이동한 날은 페달을 밟아 하루 97㎞를 갔다.

◆땡볕에 물은 금지, 법 어긴 위험천만 주행도

더운 여름 장시간 야외활동을 하려면 충분한 수분섭취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YMCA는 자전거를 타는 동안 참가자에게 물을 주지 않았다. 행사에 동참했던 이모씨는 "참가학생 모두가 더위에 힘들어했지만 YMCA에서 자전거를 타는 동안 물을 주지 말라고 했다"며 "한 시간에 한 번씩 휴식을 취하면 더위에 지친 아이들이 허겁지겁 물을 마셔 우려스러웠다"고 말했다. 또 다른 참가자는 "자전거를 타다 더위를 먹어 쓰러질 지경이었다"며 "인솔 봉사자가 YMCA 눈치를 보며 등에 물을 뿌려줘 겨우 버텼다. 초등학생 참가자도 있는데 너무했다"고 털어놨다.

인터넷 커뮤니티 '오늘의유머'에 올라온 국토순례단 주행 모습. 해당 도로는 표시와 달리 최근 도로를 확장해 3차선이 이어지는 곳이다. 도로교통법 제13조 제2항에는 "(자전거는)도로 우측 가장자리에 붙어서 통행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이들의 주행 영상도 올라왔다. 이들은 3차선 도로에서 2개 차선을 막고 이동해 주변 차량들에게 불편을 끼쳤다. 글을 올린 게시자는 "2차선에서 가고 있었는데 국토순례 하는 이들이 차 오른쪽을 마구 두드리며 비킬 것을 강요했다. 1차선 차량 속도가 빠르고 자전거 때문에 밀려있던 상황이라 끼어들기 어려운데 차를 마구 두드려 무서웠다"고 글을 남겼다. 해당 도로는 차선이 줄어든다는 표시가 있었지만, 실제로는 줄어들지 않는 구간이다. YMCA가 국토순례를 운영하면서도 코스의 사전답사는 소홀히 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부분이다. 또한 자전거의 병진 주행, 2차선 진입 등은 도로교통법 위반에도 해당된다.

박모군은 "국토순례에는 안산 단원고 방문도 포함됐다. 교통법규를 어겨놓고 안전수칙을 어긴 어른 때문에 죽은 학생들을 추모하러 간다는 것도 좀 우스운 일 아니냐"고 반문했다.

이에 대해 YMCA의 이준우 사무국장은 "정비팀 학생들의 항의를 듣고 문제를 깨달았다. 이후 학생들을 버스에 태웠고 차가 멈출 때만 정비를 맡겼다"고 해명했다. 그는 "학생들의 심정을 살폈어야 했는데 언제 사고가 날지 몰라 모두가 긴장한 나머지 그러지 못했던 것 같다"고 덧붙였다. 숙소에 대해서는 "300명이 넘는 인원 모두가 묵을 수 있는 숙소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었다"며 "예산을 남긴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던데 이 사업은 수익사업이 아니다"라고 못 박았다.

다른 논란에 대해서도 "주행 중 물을 마시는 행위는 위험해 금지하는 대신 휴식 시간 충분한 수분 섭취를 지원했다"며 "모든 구간에서 경찰의 도움을 받아 경로를 정했고 2차선 진입은 해당 인솔자가 착오를 한 것 같다"고 해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