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공항과 항만에 신선물류(콜드체인)와 온라인·오프라인연계(O2O) 물류 인프라가 집중 육성된다. 물류로봇과 지능형 항만운영체계 등 첨단 물류기술 개발도 본격화된다.
국토교통부와 해양수산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16∼2025년 국가물류기본계획'을 최종 확정했다고 3일 밝혔다. 이 계획은 국가 물류정책의 방향을 담은 10년 단위 중장기 전략이다. 그간 정부주도와 수출입 물류 위주였던 정책 방향이 민간주도, 신물류사업 지원 강화로 전환됐다.
정부는 2025년까지 ▲물류산업 일자리 70만개 창출 ▲국제물류경쟁력 10위로 도약 ▲물류산업 매출액 150조원 기록 등의 목표도 설정했다. 정부는 우선 도로운송 분야에 산업간 융복합을 지원하고 도심 물류인프라 확충을 위해 '도시첨단물류단지'를 운영키로 했다. 화물 운송시장도 법령을 개선하고 삼륜 전기차 등 새로운 수송수단 상용화에 나선다.
해운항만 분야는 선박펀드를 운용해 초대형 고효율 선박을 도입하고 운임 파생상품 거래가 가능한 '해운거래소' 설립도 추진하기로 했다. 인천신항에는 대중국 신선물류 수출을 위한 '콜드체인 클러스터'가, 부산항에는 가공·조립·제조 기업을 유치하는 배후단지(525만㎡)가 들어선다. 인천국제공항에도 특송물류센터와 배후단지가 조성된다.
드론 배송, 물류로봇, 스마트 컨테이너 등 첨단 물류기술 개발과 상용화도 속도가 붙는다. 정부는 무인물류센터 관리 시스템, 하이퍼루프형 수송 시스템, 고성능 하역 시스템 등 차세대 물류기술 선점 중장기 전략 마련을 위해 연내 '물류R&D 로드맵'을 수립할 계획이다.
한국형 항만운영기업(GTO) 육성을 위한 로드맵을 마련하고 중국과 항공 자유화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신기후체제 대비를 위한 에너지 저감 중장기 추진계획을 연내 수립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