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시황

트러스톤자산운용, '코리아 외화채권'펀드 출시

트러스톤자산운용이 국내 공기업, 은행, 대기업이 발행한 외화표시채권에 투자하는 '트러스톤코리아외화채권펀드'를 8일 출시했다고 밝혔다.

외화표시채권(KP, Korean Paper)이란 국내 공기업, 은행, 대기업 등이 해외에서 외화로 발행한 채권을 말한다. 국가별 신용도 차이에 따라 가산금리가 더해지기 때문에 국내에서 발행한 채권보다 더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한국가스공사가 2015년 7월에 발행한 2025년 7월 만기 달러표시 외화채권 수익률은 연 2.30% 내외로 한국가스공사가 발행한 원화채권 수익률 연 1.45%보다 85bp나 높다.

이 펀드는 자산의 60% 이상은 달러로 발행된 코리아 외화채권표시 채권에 투자하여 국내 채권보다 높은 수익률과 안정적인 성과를 동시에 추구한다.

또 자산의 20% 이하는 국내 대기업이 발행한 외화표시 후순위채와 달러 외 기타 통화로 발행된 고금리 외화표시 채권에 분산투자하여 환차익과 자본차익 등 추가 수익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이 펀드는 원달러 환율 변동위험을 제거한 환헤지형 자펀드(H)와 환노출형 자펀드(UH) 두 가지가 있다. 만약 환노출 자펀드에 투자할 경우 달러가 강세가 되면 채권수익과 함께 환차익도 올릴 수 있다.

이규호 트러스톤자산운용 이사는 "저금리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국내채권 투자의 매력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며 "최근 외화표시채권, 선진국회사채, 이머징회사채 등이 투자대안이 떠오르고 있지만 소액거래가 불가능하며 환헤지 등 제약이 많아 직접투자가 쉽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이 펀드는 다양한 채권 자산에 소액으로 쉽게 분산투자 할 수 있는 편리한 투자 상품이 될 것"이라며 "상품 가입은 기업은행을 통해 가능하며 앞으로 판매사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 이사는 "펀드운용은 골드만삭스자산운용, 맥쿼리자산운용 등에서 글로벌 펀드를 운용해 본 전문가들이 맡게 된다"고 덧붙였다.

납입금액의 0.24% 이내를 선취하는 A형(연 보수 0.433%)와 0.12% 이내를 선취하는 A-E형 (연 보수 0.323%, 온라인전용), 선취수수료가 없는 C형 (연 보수 0.593%)과 C-E형 (연 보수 0.403%, 온라인전용) 중에 선택이 가능하며 중도환매 수수료는 없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