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름신이 오는 날짜를 사전에 안내하여 합리적인 소비 지원./신한카드
월 소비 종합 진단을 통해 개선 영역 체크./신한카드
개인의 소비관리를 로봇이 대신 해준다.
신한카드는 고객들의 개인화된 소비를 분석하여 스마트한 소비생활을 지원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비서 서비스 'FAN페이봇'을 런칭한다고 8일 밝혔다.
'FAN페이봇'은 고객이 카드사용 내역을 본인이 관리하고 싶은 항목, 예를 들어 취미·자기관리·노후 준비·소소한 일상·데이트 등과 같이 구분하길 원한다면 인공 지능이 카드사용내역을 이러한 구분에 맞게 자동 분류해주고, 고객이 비용항목별로 예산을 설정할 경우 예산 내에서 소비를 할 수 있도록 비서처럼 지속적으로 어드바이스를 제공해주는 서비스이다.
'FAN페이봇'은 먼저 고객이 관리하기 원하는 비용항목을 인공지능의 도움으로 손쉽게 제시해준다. 예컨대 기존의 소비관리 서비스들은 백화점·마트·홈쇼핑 등과 같이 단순히 업종별로 소비 내역을 분류했지만 'FAN페이봇'은 사용자가 관리하고 싶은 비용항목을 직접 입력하여 관리를 할 수 있다. 만약에 새내기 직장인이 '데이트' 비용을 합리적으로 관리하고 싶다고 했을 때 기존의 소비관리 서비스에서는 영화관·패밀리레스토랑·놀이공원 등으로 분류된 서로 다른 지출 카테고리의 비용을 고객 스스로 계산해야만 소비관리가 가능하였다. 하지만 'FAN 페이봇'에서는 고객이 '데이트'라는 단어만 입력을 하면 인공지능이 영화관·패밀리레스토랑·놀이공원 등을 '데이트'라는 카테고리로 자동 분류하여 고객 입장에서는 보다 쉽고 정확하게 본인의 소비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FAN페이봇'은 또 고객 개개인 단위로까지 소비데이터를 심층 분석하여 해당 고객에게 적합한 소비관리 어드바이스를 제공한다. 예컨대 고객의 소비데이터 분석을 통해 지름신이 오는 날짜를 파악하고, 고객에게 사전에 알림메세지를 제공하여 합리적인 소비가 가능하도록 지원해 준다. 비용항목별로 예산을 설정하면, 카드사용내역을 체크해 예산 대비 지출 정도를 매일매일 확인할 수 있으며 비용항목별로 상세지출내역을 살펴볼 수 있다.
신한카드는 "국내 최대 카드사로 방대한 양의 결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고, 인공지능 분야에서 가장 앞서 있다고 평가 받고 있는 구글의 알고리즘(구글 검색엔진에서 특정 단어를 검색했을 때 기존의 방식으로 검색되지 않았던 웹페이지와 문서를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단어와 문장과의 관계를 찾아내 검색 정확도 향상을 위해 사용한 알고리즘)을 활용해 구축됐다는 점에서 'FAN페이봇'의 향후 발전이 기대된다"고 전했다.
AI(인공지능)를 기반으로 소비 컨설팅을 제공하는 것은 국내 카드업계에서는 처음이다. 신한카드는 지난 3년간 구축해온 다양한 B2B 빅데이터 컨설팅 노하우를 AI기반으로 재구축, 이번에 'FAN페이봇' 서비스를 선보인다.
'FAN페이봇' 서비스는 내달부터 신한카드 임직원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진행하며, 인공지능 스스로 소비 패턴 분석을 정교화하는 학습 과정을 거쳐 연내에 전체 고객 대상으로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FAN 페이봇을 통해 소비 전반에 대한 종합 진단 뿐 아니라 신한카드가 보유한 빅데이터가 결합된 다양한 관점의 소비 분석 리포트로 고객의 합리적인 소비를 유도할 수 있는 지침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최적의 상품·서비스·가맹점을 추천해주는 고도화된 마케팅 채널로 지속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