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변종립 한국에너지공단 이사장과 김원일 LS산전 대표이사를 비롯한 양 기관 관계자들이 빌딩전력관리시스템(BEMS)을 설치한 LS산전 안양 R&D캠퍼스에서 에너지 절감 효과를 확인하고 있다. /LS산전
에너지를 절약하는 전력관리시스템(EMS)이 누진제 개편의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다.
15일 에너지 업계에 따르면 전력관리시스템(EMS) 도입이 최근 이슈로 떠오른 누진제 개편에 중요한 역할을 할 전망이다.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최근 전력 예비율은 13일 12.2%, 14일 11.7%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누진제 개편 반대 이유로 내세웠던 '전력대란 우려'와는 거리가 있는 모양새다.
그간 한국전력은 "누진제에 따른 전기요금 차이가 과도하다"며 누진제 완화를 주장해왔다. 하지만 전력정책을 총괄하는 산업부는 "누진제를 개편하면 에너지 수요가 늘어난다"는 등의 이유로 제도 개편을 거부했다. 이에 한전은 "산업부의 정책을 따를 수밖에 없어 요금을 내리지 못하는데 정작 비난은 우리가 받고 있다"며 답답함을 호소하는 실정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에너지 소비 현황은 산업(62%), 건물(21%), 수송(18%) 순으로 공장 등 산업시설과 대형 건물이 에너지 소비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냉방 수요로 한정해도 주택용의 비중은 31.6%에 불과하다. 산업부는 "여름철 냉방 수요에서 산업·일반용 등이 70% 정도를 차지한다"고 밝힌 바 있다.
전력 소비에서 산업시설과 대형 건물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만큼 국내 에너지 정책을 '수요관리' 중심으로 개편해야 할 필요성도 커졌다. 수요관리는 공장, 빌딩 등에서 에너지를 필요한 만큼만 사용하도록 효율을 높이고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에너지는 줄이는 것을 의미한다. 과거에는 고효율 설비를 도입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지만 최근에는 EMS가 각광을 받고 있다.
EMS란 공장과 건물에서 사용하는 에너지 정보를 분석해 낭비를 줄여주는 시스템이다.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에너지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 패턴을 분석한 다음 사용자 특성에 최적화된 에너지 절약 방안을 도출해준다.
일반 기업들은 EMS 설치를 자율적으로 결정하고 있지만, 공공기관은 내년부터 EMS 설치가 의무화된다. 내년 1월 1일부터 신축되는 연면적 1만㎡이상 공공 건축물은 EMS를 의무적으로 구축해야 한다. 연간 100여개 건축물에 적용돼 약 10% 수준의 에너지 절감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빌딩 전력관리시스템(BEMS)을 운용하고 있는 국내 대표 건물은 LS산전의 안양 R&D캠퍼스다. 지난 3월 한국에너지공단으로부터 'BEMS 설치 1호 인증'을 획득한 LS산전 안양 R&D캠퍼스는 연간 에너지 사용량 10%, 온실가스 12 TOE(석유환산 톤)의 감축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건물은 6월 글로벌 그린빌딩 공모전인 '제 1회 APIGBA'에서 참가기업 30곳 가운데 2위(금상)에 선정되기도 했다.
한편 미국 시장조사기관 내비건트리서치는 세계 공장 전력관리시스템(FEMS) 시장이 2013년 113억 달러(약 13조1825억원)에서 연 10.3%씩 성장해 오는 2020년 224억 달러(약 26조1318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세계 BEMS 시장도 2012년 18억 달러(약 2조1000억원)에서 연 15.6%씩 성장해 2020년 60억 달러(약 6조7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