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석유화학/에너지

中 '사드 보복'에 화학업계 좌불안석

중국 정부 개입·반한 감정 확산…석유화학업계도 영향 불가피

중국의 경제 보복에 석유화학 업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은 LG화학 대산공장 전경. /LG화학





사드 배치를 둘러싼 중국의 경제 보복이 가시화되는 가운데 국내 화학 업계가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 중국에서 한류 연예인들의 공연이 잇따라 취소되고 있다. 중국판 '나가수'에 출연해 인기를 얻은 황치열은 최근 현지에서 예능 프로그램을 촬영했다. 하지만 그 방송에서 황치열을 본 중국인은 없다. 방송사가 등장 부분을 모두 편집하고 불가피하게 드러나는 부분은 모자이크로 처리했기 때문이다. 싸이와 송중기, 김우빈, 수지 등도 중국에서 비슷한 일을 당했다.

중국의 관영매체 신화통신은 최근 중국 정부가 한류 연예인의 활동 금지를 결정하면 이에 찬성할지를 묻는 설문을 진행했다. 이 설문 응답자의 86%는 찬성할 것이라고 답했다. 해당 매체 특성을 감안하면 사드 배치 문제를 두고 중국 정부가 반한 감정을 조장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중국의 경제 보복은 석유화학 업계까지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31일 국내 석유화학 업계는 중국의 대응에 우려 섞인 눈길을 보내고 있다. 국내에서 생산된 화학제품은 대부분 중국으로 수출된다. 업계 관계자들은 최근 중국의 '화학굴기'로 대 중국 수출 물량이 감소했는데 반한 감정 조장까지 겹친다면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며 우려하고 있다.

중국은 수입에 의존하던 화학제품을 자체 생산하기 위해 노력을 거듭해왔다. 이로 인해 직접적인 타격을 받은 것이 국내 고순도 테레프탈산(PTA) 업계다. PTA는 폴리에스터와 페트병 등을 만드는 재료다. 2010년만 하더라도 국내 PTA 생산량의 80% 가량은 중국에 수출됐다. 하지만 한국석유화학협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PTA 생산량의 단 4%만이 중국에서 소비됐다. 중국이 PTA 자급률을 높이자 대표적인 공급과잉 품목이 됐고 국내 업체들은 사업을 철수하거나 생산량을 줄여야만 했다.

PTA 외에도 피해가 우려되는 사업은 많다. 합성수지 PVC와 합성고무 SBR, BR도 중국 자급률이 105%와 87%까지 높아졌다. 중국의 자급률 상승은 해당 품목이 공급과잉에 빠지게 됨을 의미한다. 국내 화학업계의 대표 효자 품목인 에틸렌 역시 위험 품목이다.

에틸렌은 석유, 가스, 석탄 등에서 추출할 수 있는 화학 제품의 기초 소재다. /한화케미칼



올해 상반기 국내 업체들이 수출한 에틸렌 가운데 89%는 중국으로 들어갔다. 수출 물량 40만6456톤 가운데 36만984톤이 중국으로 몰리며 높은 의존도를 드러냈다. 화학 산업의 기초 재료인 에틸렌은 석유와 가스, 석탄 등에서 추출 가능하다. 국내 업계는 주로 석유에서 에틸렌을 추출한다. 중국은 고유가 시기 상대적으로 저렴한 석탄을 활용하는 생산 설비를 대거 구축했지만, 국제유가가 급락하며 대부분을 놀리게 됐다. 업계는 작년 중국의 에틸렌 자급률이 63%에 그쳤지만, 2020년에는 76%까지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 배터리 업계는 지난 5월부터 중국 정부의 경제를 받고 있다. LG화학과 삼성SDI는 중국 공신부의 배터리 모범기준 인증에서 탈락을 거듭했다. 중국 정부는 전기차 시장에서 수준 미달의 배터리를 퇴출하겠다며 이 인증을 도입했다. 인증을 받은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에만 보조금을 지급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국내 기업의 탈락 원인으로 서류 미비와 중국 내 공장 가동 기간 부족 등이 꼽혔지만 이는 인증에 필수적인 기준이 아니었다. 양사 관계자는 "신청 서류 가운데 중국 내 최근 1년간의 사업 연혁을 쓰는 부분이 있지만 심사에 필수적인 기준은 아니"라며 "구체적인 심사 기준과 시기는 공지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LG화학과 삼성SDI 외에 AESC, 파나소닉 등 해외 유력 기업도 심사에서 탈락한 반면, 중국 기업은 통과해 보호주의 비판이 거세졌다. 이에 중국 정부는 배터리 인증과 보조금 지급을 연계하지 않기로 했다. 업계는 중국 정부가 한 발 물러난 만큼 다음 배터리 인증 심사가 9월 이뤄지고 이 심사에서 한국 배터리 기업들이 통과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화학업계 관계자는 "국내 제품의 경쟁력이 뛰어난 만큼 당장 타격을 입을 것으로 생각하진 않는다"면서도 "전기차 배터리 인증 사례에서 보듯 중국 정부가 시장에 개입할 여지가 충분하고 이는 자동차와 식품, 화장품 등에서도 이뤄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관계자는 "중국 정부의 개입과 반한 감정 확산 등으로 전방산업이 위축된다면 후방산업인 화학업계도 피해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