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 만에 경남 거제 지역을 중심으로 콜레라 환자가 발생했다. 추석 대목을 앞두고 손님들의 발길이 끊기자 수산업 종사자들은 망연자실 하고 있다.
보건당국은 해수 오염에 따른 수산물 오염 가능성이 높다는 추정만 하고 있다. 역학조사를 진행했지만 콜레라 감염경로를 밝혀내지 못했다.
이러한 가운데 거제와 인접한 통영에서 활어회 시식행사가 진행됐다. 지역 수산물이 안전하단 걸 강조하려는 행사인데 콜레라 감염경로가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벌어진 일이라 논란이 예상된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콜레라가 어패류에서도 감염될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올해들어 C형 간염, 콜레라까지 감염병이 계속 발병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감염병의 확산을 최소화 하고 빠른 원인규명을 해야하지만 사상 유례없는 기록적인 폭염으로 감염병이 확산될 수 있었을 것이란 변명만 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지난해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사태를 겪고도 국가방역에 실망감을 보이고 있다. 초동대응의 미흡과 의료기관 간 정보공개 문제는 아직도 갈 길이 멀어 보인다.
대표적으로 C형 간염이다. 서울의 한 의원에서 지난 2월 주사기 재사용 신고가 접수됐지만 보건당국은 3월에야 조사에 들어갔다. 일반적으로 C형 간염 바이러스는 상온에서 약 5일 가량 생존한다. 한 달 이상 시간히 흘렀다면 바이러스가 검출될 가능성은 지극히 낮다. 결국 C형 간염 바이러스를 발견하지 못했고 뒤늦은 대응으로 인해 피해자들에 대한 보상 또한 어려워진게 사실이다. 여기에 정부가 3년전부터 전수조사 필요성을 주장했지만 묵살된 정황도 드러나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 전국에서 학교급식 집단식중독이 발생하고 있다. 정부는 개학철만 되면 학교급식에 위생과 감사 기능을 강화하겠다는 말을 되풀이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년 식중독 사고는 발생하고 있다. 올해 식중독이 발생한 14개 학교 중 서울 동명여고, 정보산업고 등 10곳이 점검을 받았지만 별다른 지적사항이 없었다. 식중독 예방의 중요한 요소인 식기류 소독 검사에 사실상 손을 놓고 있던 셈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기동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학교급식 식중독 대란은 결국 인재(人災)로 판명됐다"며 "관리당국은 형식적인 검사와 보여주기식 대책 대신 실효성 있는 대안을 내놔야 한다"고 말했다.
연이어 터지는 감염병으로 국민들의 불안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보건당국은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정확한 감염 경로와 원인을 철저히 밝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