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폭염경보가 중요한 게 아니다



이달 들어 진도 2.0 이상의 지진이 132차례 발생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9월 지진은 지난 12일 경주 지역에서 발생한 것이 처음이다. 12일 진도 5.1과 5.8, 4.3 짜리 지진이 연달아 생겨 많은 국민들의 가슴을 철렁하게 했다.

서울에서도 흔들림이 느낄 정도였지만, 많은 이들이 이에 대한 안내를 받지 못했다. 때문에 일선 학교에서는 "가만히 있으라"며 학생들을 건물 안에 가두려 했고 학생들은 이를 거부해 충돌이 일기도 했다.

2014년 세월호 침몰 사고에서도 비슷한 모습이 연출됐다. 당시 세월호 탑승객들은 "가만히 있으라"는 안내방송을 따랐다가 참사를 당했다. 사고 후 해경의 구조 작업 역시 많은 허점이 발생해 피해를 키웠다는 평가다.

이런 사태의 재발을 막고자 정부는 2014년 안전행정부의 안전·재난 기능을 분리해 국민안전처를 신설했다. 이 기관은 육상과 해상의 재난관리시스템을 총괄하며 자연·사회·특수 재난 관리역할을 맡았다.

하지만 지난 12일 지진 발생 당시 국민안전처는 긴급재난문자를 발송하지 않았다. 날이 조금이라도 더우면 폭염경보가 발령됐다며 전 국민의 휴대폰을 울려대던 모습과는 대조적이다. 당시 국민안전처 홈페이지도 3시간 가량 먹통이 됐고 국민들은 재난에 대한 정보를 제대로 얻기 힘들었다.

18일 정부통합전산센터는 국민안전처 홈페이지 처리용량을 최대 80배까지 향상시켰다고 밝혔다. 12일 발생한 트래픽 폭주를 대비한 조치였지만, 19일 지진 발생 직후 국민안전처 홈페이지는 다시 다운됐다. 긴급재난문자는 일부 지역에 한해서만 발송했고 그나마도 지진 발생 시점부터 15분가량 늦었다.

재난 상황에서는 예상치 못한 대규모 피해가 발생할 수 있고 그 때문에 초기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어떠한 상황에도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하고 전국에서 발생하는 재난에 신속하게 대처해 피해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 국민안전처의 역할이라 할 수 있다. 국민안전처, 나아가 정부는 5000만 국민의 생명을 보호해야 하는 자신들의 책무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것일까. 여름철 발송한 폭염경보 메시지보다 중요한 업무가 있음을 기억해주기 바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