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게임

[성장 끊긴 한국 게임-3] 후발주자 면하려면 신규 플랫폼 뛰어들어야

독일에서 열린 세계가전박람회(IFA 2016) 삼성전자 전시장에서 관람객들이 기어 VR로 산악자전거 체험을 하고 있다. /뉴시스





최근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등이 새로운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AR의 경우 '포켓몬 고'가 세계적인 인기를 얻으며 이슈로 떠올랐고 VR의 경우 일반 소비자의 접근이 가능한 '오큘러스 리프트'가 출시되며 많은 관심을 받았다.

그중에서도 VR는 차세대 플랫폼으로 각광받고 있지만 게임 업계의 반응은 미적지근하기만 하다. 플랫폼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에 대한 검증이 부족하다는 이유다.

21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한 게임 개발사 관계자는 "VR기기가 시각 정보와 신체 정보의 괴리로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이상, 게임에 적용하긴 어렵다"면서 "가상현실 자체는 미래에 플랫폼으로 자리 잡을지 모르지만 그 형태가 지금과 다를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 역시 VR 게임에 대해 "내부적으로 가능성 검토는 하고 있지만 아직 무언가를 했다고 말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다"라며 "아직 보급도 이뤄지지 않은 VR보다는 수익을 낼 수 있는 사업에 집중해야 하지 않겠냐"고 반문했다.

반면 한국 게임계가 안드로이드 생태계에 선도적으로 뛰어들지 못해 모바일게임 후발주자로 밀려났던 만큼 신규 플랫폼에 투자를 망설여선 안 된다는 시각도 있다. 최근 카카오게임즈는 VR 골프 게임 'VR골프온라인'을 오큘러스 리프트 스토어에 출시했다. 로이게임즈는 공포게임 화이트데이의 신작 '화이트데이: 스완송'을 소니 플레이스테이션 VR 전용으로 내놓을 예정이다. 한빛소프트와 블루홀 게임즈도 VR게임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카카오게임즈 관계자는 "당장의 수익성을 문제로 뛰어들기를 주저한다면 신 시장을 둘러싼 경쟁에서 뒤쳐질 수 있다"며 "실패를 하더라도 경험을 쌓는다면 다음 도전의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렇다면 많은 게임회사들이 의구심을 품고 있는 VR 기기 보급은 어떻게 해결될 수 있을까. 현재 가장 진보한 VR 기기로 평가받는 바이브(Vive)를 제작한 HTC는 "현재 시스템 구축비용이 비싸고 화질은 1K(가로 해상도 1키로 픽셀) 수준에 그쳐 경제성이 낮은 것이 사실"이라고 인정했다.

HTC의 바이브는 기기 가격만 799달러(약 91만원)에 달한다. 바이브를 구동시킬 고성능 PC 가격까지 계산한다면 VR 시스템 구축에만 300만원은 투자해야 한다. 개인 소비자에게는 다소 부담스러운 금액이다.

HTC의 칼 랜 아시아태평양 콘텐츠 총괄 이사는 "현재 경제성은 낮지만 기기는 4K를 향해 발전할 것이고 2~3년 내 가격이 저렴한 보급형 기기도 출시될 것"이라며 "이미 게임과 영화, 스포츠, 교육, 쇼핑 등에서는 VR이 활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10년 전 IT 환경을 장악했던 PC와 웹도 이제는 모바일에 주도권을 뺏겼다"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IT 환경에서 모바일 다음 플랫폼이 VR인 것은 반박할 여지가 없는 사실"이라고 주장했다.

어지럼증에 대해서도 그는 "일본 이케부쿠로 선샤인시티의 스카이서커스에 VR 놀이시설이 있는데 여기서 어지럼증이 보고됐다"면서도 "개발팀이 최적화를 위해 노력한 결과 많이 줄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어지럼증은 소프트웨어 개선을 통해 해결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어 "게임기업 반다이남코가 일본 오다이바에서 운영하고 있는 VR존은 사용 예약이 2개월 밀려있을 정도로 인기가 뜨겁다"고 VR에 대한 대중의 높은 관심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대중의 관심이 높더라도 기기 보급에 가장 중요한 것은 콘텐츠다. 과거 PC방도 스타크래프트 열풍에 힘입어 전국에 보급된 바 있다. 칼 랜 이사는 "바이브 생태계에 있는 개발자는 5000여명 수준이고 콘텐츠 타이틀도 310개 남짓"이라며 "한국의 우수한 회사들이 콘텐츠 개발에 참여한다면 VR 생태계에서 높은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