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상장 기업들의 배당을 통한 주주환원 정책이 바닥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증권은 5일 모건스탠리 캐피털 인터내셔널(MSCI) 지수에 편입된 주요 21개국 주식시장의 올해 예상배당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는 1.78%로 20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한국은 지난해에도 1.68%로 21개국 가운데 20위에 머물렀다.
21개국의 올해 평균 예상배당수익률은 3.11%로 지난해 평균인 3.17%보다 다소 낮아질 전망이다.
호주, 터키, 독일, 홍콩 등은 작년보다 배당수익률이 높을 것으로 보이지만 스페인, 영국, 프랑스 등 주요국들이 하락하면서 전체 평균치가 하향 조정됐다.
특히 프랑스는 올해 예상 배당수익률(3.73%)이 작년 수익률(5.19%)보다 1.46%포인트 떨어져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
우리나라는 작년보다 소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전체 평균치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국가별로는 이탈리아가 4.91%로 올해 예상배당수익률이 가장 높았고 스페인(4.85%), 호주(4.51%), 러시아(4.28%), 영국(4.04%)도 4% 이상으로 상위권에 올랐다.
이어 대만(3.83%), 프랑스(3.73%), 터키(3.32%), 홍콩(3.09%), 독일(3.05%) 순이었다.
브라질(2.95%), 태국(2.95%), 말레이시아(2.93%), 남아프리카공화국(2.85%), 중국(2.25%) 등 신흥국들도 우리 기업들보다 높았다.
선진국 중 일본과 미국이 올해 각각 2.25%, 2.08%의 예상배당수익률로 하위권에 자리했다.
우리나라와 같은 1%대 배당수익률이 예상된 곳은 멕시코(1.83%)와 인도(1.47%)뿐이다.
한편 NH투자증권도 주요 11개국 중 한국이 가장 낮은 배당수익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