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락 열풍에 편의점이 쌀 소비 시장의 '큰 손'으로 떠오르고 있다./BGF리테일
도시락 열풍에 편의점이 쌀 소비 시장의 '큰 손'으로 떠오르고 있다.
5일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도시락과 삼각김밥 등 쌀밥 간편식(미반·米飯)용으로 편의점이 매입하는 쌀의 규모는 날마다 최대 기록을 갱신하고 있다.
편의점 CU(씨유)는 BGF리테일(CU 운영사)이 직접 운영하는 BGF푸드를 비롯해 전국 8개 간편식 제조공장이 올해 상반기에만 약 5500t, 약 6만9000여 가마의 쌀을 구매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3200t)보다 72% 늘어난 규모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작년 우리나라 국민 1일 평균 쌀 소비량 172.4g이다.CU가 사들인 쌀의 양은 약 9만명이 1년 동안 먹을 수 있는 양이다.
현 추세대로라면 올해 전체 씨유의 쌀 소비량은 지난해(6400t)의 약 두 배인 1만1500t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븐일레븐의 올해 상반기 쌀 매입량도 CU와 비슷한 5400t으로, 하반기 매입량이 상반기 수준만 유지해도 올해 쌀 소비량(1만1000t)은 지난해(6100t)보다 80% 이상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014년(3300t)과 비교하면 2년 사이 거의 3배 수준으로 늘어난 것이다.
GS25까지 더하면 이른바 편의점 '빅3'의 올해 쌀 수요는 3만t을 가볍게 넘을 것이 확실시된다. 이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추산하는 올해 쌀 초과 공급량 35만t(수확량 추정치-적정 수요)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양이다.
편의점에서 쌀 소비가 급증한 것은 도시락·삼각김밥·주먹밥 등 편의점 간편식이 직장인·학생들의 점심 문화를 바꿀 정도로 큰 인기를 얻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올해 9월까지 CU의 도시락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7배로 늘었다. 같은 기간 김밥과 삼각김밥 등 주먹밥의 매출도 각각 75.2%, 23.5% 신장했다.
세븐일레븐(1월1일~9월8일)과 GS25(1~8월)에서도 도시락 매출은 지난해 동기의 2.54배, 2.76배로 거의 3배에 달한다.
김정훈 BGF리테일 간편식품팀장은 "도시락 쌀 수요가 가정 쌀 수요를 상쇄하는 측면도 있지만, 최근 인기를 얻는 편의점 도시락의 경우 새로운 수요와 시장을 창출한 만큼 쌀 소비 촉진에 분명히 기여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소비자들이 만족할 수 있는 질 높은 간편식을 계속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