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에 위치한 LG화학 대산공장 NCC 설비(사진)가 2019년까지 증설을 통해 연간 생산량을 127만톤으로 늘린다. /LG화학
LG화학이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사업구조 고도화 계획을 밝히며 정부의 '석유화학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에 힘을 보탰다.
LG화학은 고부가 제품 확대에 필요한 기초원료 확보를 위해 나프타분해시설(NCC) 증설과 고부가 ABS수지 생산설비 확충에 나선다고 16일 밝혔다.
먼저 LG화학은 2019년까지 충남 대산공장에 2870억원을 들여 NCC공장을 증설한다. 에틸렌은 메탈로센계 PO, 고기능 ABS, EP 등 석유화학제품의 기초 원료로 '화학의 쌀'이라 불린다. 증설이 완료되면 대산공장의 에틸렌 생산량은 104만톤에서 127만톤으로 23만톤 늘어난다. 이는 세계 NCC 단일 공장 가운데 최대 생산능력이다.
정부는 최근 발표한 '석유화학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에서 국내 NCC설비가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대규모 생산능력을 보유해야 한다고 분석한 바 있다. 증설이 완료되면 LG화학의 연간 에틸렌 생산량도 243만톤으로 늘어나 국내 1위 자리를 공고히 하게 된다. 증설로 인한 매출 증대 효과에 대해 LG화학은 4000억원을 넘을 것으로 예측했다.
다만 NCC에서 생산한 에틸렌은 국제유가가 배럴당 60달러를 넘어서면 셰일가스에서 에틸렌을 추출하는 에탄분해시설(ECC)보다 가격 경쟁력이 떨어진다. NCC는 원료의 30% 정도를 에틸렌으로 만들지만 ECC는 원료의 80%를 에틸렌으로 만들기 때문이다. 현재는 국제유가가 안정돼 NCC가 우위를 점하지만, 10~20년 이상을 내다보고 설비를 구축하는 석유화학산업 특성 상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다.
이 때문에 LG화학은 신규 공장을 건설하는 대신 기존보다 설비효율이 높은 공정을 도입하는 방식으로 투자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투자비 또한 동일한 수준의 신규 공장 건설에 비해 절반 이하로 들어간다. 이와 더불어 세계 일등인 여수공장의 에너지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대산공장도 여수공장 수준으로 에너지 원단위를 낮춰 원가경쟁력을 지속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LG화학은 고기능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일종인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의 생산량을 연간 85만톤에서 88만톤으로 확대한다. /LG화학
정부가 공급과잉 품목으로 지적한 폴리스티렌(PS) 생산라인은 고부가 ABS 수지 생산설비로 전환된다. LG화학은 2017년 상반기까지 여수공장 PS 생산라인 2개 가운데 1개를 ABS로 변경한다. 연산 5만톤 규모의 1개 라인은 해외 기술 라이센싱 역할 수행과 내부 수요 충당을 위해 남겨둔다.
전환이 완료되면 LG화학의 PS 국내 생산량은 연간 10만톤에서 5만톤으로 줄고 ABS 국내 생산량은 연간 85만톤에서 88만톤으로 3만톤 늘어난다.
플라스틱의 일종인 고기능 ABS는 내열성과 내충격성, 가공성이 뛰어나 자동차 및 가전, IT소재에 주로 적용되는 고부가 소재다. 현재 LG화학이 세계 시장점유율 20%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LG화학 손옥동 기초소재사업본부장(사장)은 "국내 석유화학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원가 경쟁력 강화와 사업구조 고도화라는 방향은 물론 실행과 변화의 속도도 무척 중요하다"며 "LG화학은 한 발 앞선 선제적 투자로 어떤 상황에서도 탁월한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확실하게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LG화학은 메탈로센계 PO, 고기능 ABS 및 EP, 친환경 합성고무 등 고부가 제품 매출을 현재 3조원 규모에서 2020년 7조원까지 늘리기로 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