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나온책] 그림자 노동의 역습
민음사/크레이그 램버트 지음
기술이 발전해도 노동은 줄지 않고, 하루의 많은 시간과 일들은 월급 명세서에 찍히지 않는다. 우리는 인류 역사상 가장 번창한 시대에 살고 있고, 이 번영이 한가로운 시간을 안겨 줄 게 분명한데 말이다. 늘 새로운 일들이 조용히 우리의 시간에 침투해 여가를 조금씩 빼앗아 가고 있다. '왜 늘 시간이 부족할까?' 궁금증에 시달려왔던 독자라면 '그림자 노동의 역습'을 추천한다.
이 책은 바쁜 현대인의 삶을 더욱 분주하게 만드는 '그림자 노동(임금에 기초한 상품 경제하에서 보수 없이 행하는 비생산 노동)'의 실상을 파헤쳤다. 오스트리아의 사회사상가 이반 일리치가 주창한 '그림자 노동' 개념에 착안해 오늘날 현대인이 보수가 없지만, 기본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일들 때문에 얼마나 바쁘게 사는지 날카롭게 지적한다.
아울러 일상 전반에 폭넓게 파고든 그림자 노동이 개인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우리 사회와 경제를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도 상세히 설명한다.
그림자 노동이 증가하는 이면에는 인건비를 최대한 줄이려는 기업들의 노력이 있다. 인건비를 줄이는 전략으로 인원 감축, 자동화 외에 일정부분 서비스는 고객 스스로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고객들이 식당에서 직접 퍼다 먹고 마시는 '샐러드 바'가 한 예다. 또 공항에서는 터치스크린 키오스크로 직접 탑승 수속을 밟고 문의사항에 대한 적절한 답변을 찾기 위해 홈페이지 FAQ 목록을 스크롤한다. 인터넷을 통한 지식의 대중화, 정보 생산과 공유의 용이함도 그림자 노동의 증가를 가속화하는 요인이다. 회사에서 스팸 메일을 지우는 것도 그림자 노동 중 한가지다. 그림자 노동 때문에 할 일 목록이 늘어난다는 사실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이 책은 우리의 무의식에 가라앉아 있는 그림자 노동을 수면 위로 꺼냄으로써 우리가 가진 소중한 시간을 현명하게 사용하도록 돕는다.
이 책의 저자이자 저널리스트인 크레이그 램버트는 '하버드 매거진'에서 20년 넘게 스태프 필진 겸 편집자로 활동했다. 의학 저널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부터 스포츠 매거진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까지 다양한 매체를 아우르며 글을 써 왔다. '뉴욕 타임스'에 기고해 큰 호응을 얻은 사설 '대가 없이 추가된 그림자 노동'을 확장한 '그림자 노동의 역습'은 미국의 다야한 언론으로부터 '고용과 노동에 대한 신선한 시각'(커커스 리뷰), '모든 것에 대한 사고방식을 바꾸어 놓을 책'(뉴요커)이라는 찬사를 받았다. 336쪽, 1만6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