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모바일

줄어드는 스마트워치 시장… 반짝 액세서리에 그치나

애플 워치 판매량이 3분기 연속 감소했다. 스마트워치의 유용성을 일반 소비자에게 충분히 제시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애플의 스마트워치 애플 워치의 판매량이 3분기 연속 감소하며 제조사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31일 독일계 통계포털 스타티스타는 애플 워치 세계판매량이 올해 1~3분기 연속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시장조사기관 IDC와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의 추정치를 반영한 이 분석에 따르면 작년 4월 발매된 애플 워치는 2분기 360만대, 3분기 390만대가 팔렸다. 4분기는 510만대로 판매량이 점차 증가했으나, 올해 들어 판매량이 급감했다. 올해의 경우 1분기 판매량은 220만대, 2분기 판매량은 160만대, 3분기 판매량은 110만대로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올해 1~3분기 판매량을 합쳐도 작년 4분기보다 적은 수준이다.

기존 애플 제품의 흥행 실적과 비교하면 애플 워치의 저조한 성적은 이례적인 일이다. 2007년 출시된 아이폰은 당해 2분기 대비 2008년 3분기 판매량이 23배 증가했다. 2010년 2분기 출시된 아이패드 역시 다음해 3분기 판매량이 3배 이상 많다. 스타티스타는 "아이폰은 출시 이후 판매량 감소까지 9년이 걸렸지만 애플워치는 1년 반 만에 하락세가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스마트워치의 부진은 애플만의 문제가 아니다. IDC에 따르면 3분기 스마트워치 출고량은 270만대로 작년 동기 560만대의 절반 수준으로 주저앉았다. 안드로이드, 타이젠 등 비(非) 애플 스마트워치를 따로 놓고 보더라도 1년 새 분기 판매량이 170만대에서 160만대로 역성장 했다.

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 시장 점유율은 14.4%로 전년 동기 6.4% 대비 9.0% 상승했지만, 같은 기간 전체 순위는 2위에서 3위로 한 단계 하락했다. 지난해 3분기 삼성에 이어 3위를 차지했던 레노버 역시 올해 3분기 판매량이 전년 동기의 절반인 10만대로 줄어들어 4위로 주저앉았다.

3분기 스마트워치 판매량 감소에는 애플워치2, 기어S3, 안드로이드웨어 2.0 등 출시를 앞둔 신제품과 신기술로 인한 대기수요자 작용했다. 하지만 제조사들이 스마트워치의 보편적인 필요성을 보여주지 못했다는 이유가 더 크다는 분석이다.

IDC의 지테시 우브라니 연구원은 "메시지 확인, 간편 통화 등 일부 기능이 관심을 끌었지만,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보다 명확한 사용 동기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대부분의 스마트워치는 걸음 수 측정, 심박 수 측정 등 피트니스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때문에 지난 1년 동안 가장 큰 성장을 한 곳도 스포츠기기 전문 업체인 가민이다. 가민의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3분기 2.3%에서 올해 3분기 20.5%로 급등했다.

업계 관계자는 "단순한 메시지 알림이나 간편 통화, 음악 재생 등의 기능을 쓰자고 스마트워치를 살 필요는 없다"며 "만약 필요가 생기더라도 그런 기능은 중국의 4만~5만원대 저가 스마트워치로 충분히 누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각 회사들이 스마트워치의 유용성을 높이고 자신만의 특화 기술을 도입하기 위한 고민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