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가 '맥킨지' 파문 잠재우기에 적극 해명하고 나섰다.
맥킨지가 "거래소의 목표가 사업 다각화라면 개별 사업 부문에 더 많은 자율성을 부과하는 방향으로의 지주사 전환을 진행해야 한다"고 분석한 컨설팅 결과가 '반대'한다고 비춰진 데 따른 것이다.
다
한국거래소는 2일 브리핑을 통해 올해 6월부터 17주간 진행된 맥킨지 컨설팅 결과를 공개했다.
거래소는 "컨설팅 과정에서 전사 관점에서의 관리 복잡도 증가, 조직 내 의사소통 저하 등 지주회사 전환 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인을 분석해 대응 방안을 함께 제시해 달라고 맥킨지 측에 먼저 요구했다"고 밝혔다.
맥킨지는 사업 부문별로 법인을 구분하면 법인별 예산·인력 편성 등 복잡도가 증가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전사 조직은 재무·리스크 관리, 인사 및 계열사간 시너지 창출에 집중하고, 계열사들은 독립 운영 체계를 수립·운영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전사 차원의 협의체를 구성하고 이해 상충 영역에서는 지주 톱(top) 팀에서 최종 의사 결정권을 행사해 의사소통 저하, 의사 결정의 비효율화 등의 리스크 요인에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인사 불만과 사내 파벌주의 심화 등의 잠재적 리스크에 대해서도 지주 인사팀을 통한 중앙 집중 시스템, 계열사간 적극적인 인력 교류 시스템 운영 및 임원 교차 인사 등의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채남기 거래소 전략기획부장은 "이번 컨설팅 결과를 내년 사업계획 등에 반영해 역점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지주회사 전환까지는 험난한 여정이 예상된다.
민주당은 "한국거래소가 지주회사 전환을 위해 의뢰한 외국계 컨설팅 회사 맥킨지의 보고서에 언급된 문제점 해소 방안을 마련하지 않으면 지주회사 전환은 어렵다"는 입장을 정한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최순실 게이트' 파문이 확산되고 이어 자본시장의 현안이 뒷전으로 밀릴 가능성도 커졌다.
또 박근혜정권 출범초 인수위 전문위원을 지낸 정찬우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친박계 핵심 인사 청와대 실세들의 지원을 등에 업고 금융권 인사를 좌지우지했다는 루머가 노컷뉴스를 통해 보도됐다.
한편 거래소는 지난 19대 국회에서도 지주회사로 전환하면서 코스피, 코스닥, 파생상품 등 거래소 내 3개 시장을 자회사로 분리하려는 자본시장법 개정을 추진했지만 무산됐다. 이번 20대 국회 때 이를 재추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