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지속 가능한 분노가 사회를 바꾼다



'비선실세' 최순실로 온 나라가 들끓고 있다. 대통령 연설문 수정은 물론 외교·안보 문건을 받아보며 국정 전반에 개입했다는 내용이다. 의혹대로라면 "최순실이 1위, 정윤회가 2위, 박근혜는 3위"라던 박관천 전 경정의 권력서열 강의가 사실로 보인다. 1960년 4·19 혁명으로 얻어낸 민주주의를 심각하게 훼손시킨 사건임은 굳이 언급할 필요도 없다.

작금의 개탄스런 현실에 국민들의 분노는 지극히 당연하다. 하지만 우려스러운 점이 있다. 국민들의 분노가 상황을 개선하는 방향이 아닌 소모적인 감정 분출로 변질될 가능성이다. 지난달 28일 광화문은 민주주의를 수호하자는 목소리 대신 박근혜 대통령과 최순실이라는 이름으로 가득 찼다. 이번 사태가 마녀사냥으로 비화되고 일부 관련자 처벌이라는 결말로 끝난다면 과연 그것으로 충분할까.

우리는 비슷한 사례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안전규정을 지키지 않아 세월호 침몰 사고가 발생했고 많은 국민들이 분노했지만 우리의 안전 의식에는 변함이 없다. 그저 이준석 선장을 비롯한 일부 관련자가 처벌됐을 뿐이다. 부실 자재를 사용한 경주 마우나 리조트가 붕괴됐지만 중국산 저가 철강 수입은 점차 늘어나고 있다. 국민들의 분노는 과연 무엇을 위한 것이었을까.

분노는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사회를 개선하는 방향으로 표출되어야 한다. 고위 공직자의 비위에 분노했다면 나 자신부터 법을 준수하고, 안전사고에 분노했다면 나 자신부터 안전규정을 철저하게 지켜야 한다. 구성원 모두가 횡단보도 신호등부터 철저하게 지키는 사회에서 세월호나 마우나 리조트 같이 규정을 무시해 벌어진 사고가 과연 일어날 수 있을까.

이번 최순실 게이트도 마찬가지다. 눈앞의 관련자 처벌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일은 더욱 중요하다. 국민이 정치인의 행동을 유심히 지켜보고 투표에서 각자의 뜻을 충실히 행사하는 것만이 사태 재발을 막는 방법이다.

불의를 봤다면 분노해야 한다. 하지만 그 분노가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지속될 때 사회는 한 걸음 전진할 수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