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구글코리아 사무실에서 이해민 구글 프로덕트 매니저가 구글 번역을 시연하고 있다. /구글코리아
구글코리아가 29일 서울 역삼동 구글코리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한 '구글 포토'와 '구글 번역'의 발전을 소개했다.
2015년 5월 출시된 사진 관리 서비스 구글 포토는 클라우드에 사진과 동영상을 보관하고 어느 기기에서나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다. 고용량 사진 저장을 무료로 할 수 있지만 과거에 필름을 이용해 촬영·인화한 사진을 보관하는 일에는 어려움이 따랐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구글은 종이 사진을 디지털 이미지로 손상 없이 옮길 수 있는 '포토스캐너' 앱을 선보였다. 포토스캐너는 사진을 촬영·스캔할 때 생기는 반사광을 제거해 고화질 사본을 만들어주는 독립형 앱이다. 머신러닝 기술을 적용해 사진의 가장자리를 파악하고 수평이 맞도록 회전시켜준다.
이렇게 만든 디지털 사진은 구글 포토에 등록된다. 구글 포토는 머신러닝과 AI 기술을 활용해 자동으로 이미지 내용을 인식하고 태그를 달아 분류해준다. 제임스 갤러거 구글 포토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디렉터는 "각 지역의 랜드마크가 어떻게 생겼는지 인터넷에 공개된 사진으로 학습시켰다"며 "이렇게 촬영한 사진은 자동적으로 태그가 붙고 그룹으로 분류돼 '바다', '결혼' 등 키워드를 검색하면 바로 모아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로 출시 10년을 맞은 구글 번역에도 AI가 적용됐다. 구글 번역은 현재 세계 5억 명 이상이 매일 1000억 회 이상 사용한다. 103개 언어를 지원하는데 이는 온라인에서 활동하는 세계인구 99%의 언어들이다.
온라인 콘텐츠의 50% 이상은 영어로 작성됐지만 세계에서 영어를 쓸 수 있는 인구는 20%에 불과하다. 구글은 이 점에 주목해 번역 서비스 향상에 힘을 쏟아왔다. 이날 구글은 최근 도입한 '구글 신경망 기계번역(GNMT)'에 대해 발표했다. GNMT 기술은 단어와 구문 단위로 번역하던 기존 구글 번역과 달리 전체 문장을 하나의 번역 단위로 간주해 번역한다. 번역이 정확도가 높아진 것은 물론 품질에도 개선이 많았다. 현재 GNMT 기술이 적용된 언어는 한국어를 비롯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중국어, 일본어, 터키어 등의 8개 언어 조합이다.
버락 투로프스키 구글 번역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총괄은 "GNMT 기술 적용 후 번역 오류가 55~85%가량 감소했다"며 "머신러닝으로 많은 데이터를 학습할수록 더 정교한 번역을 제공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세계 사용자의 언어 장벽 해소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