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삼성 갤럭시, '갤노트7' 악재에도 브랜드 순위 1위 지켜

'갤럭시S7엣지' 블루코랄. /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 단종이라는 대형 악재에도 삼성 갤럭시가 올해 브랜드 순위 1위를 유지했다. 올해 가장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인 브랜드는 현대자동차의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다. 신규로 순위에 진입했지만, 자동차 부문에서 단숨에 1위를 차지했다.

4일 브랜드가치 평가회사인 브랜드스탁이 발표한 '2016년 대한민국 100대 브랜드'에서 삼성 갤럭시는 브랜드가치 평가지수인 BSTI 924.2점을 획득, 6년 연속 정상의 자리를 지켰다.

BSTI는 총 230여개 부문의 대표 브랜드 1000여개를 대상으로 브랜드가치를 매기는 평가모델이다. 브랜드스탁 증권거래소의 모의주식 거래를 통해 형성된 브랜드주가지수(70%)와 정기 소비자조사지수(30%)가 결합돼 점수가 산정된다. 만점은 1000점이다.

삼성 갤럭시는 올해 1위를 차지했지만, BSTI는 지난해(934.7점)와 비교해 10점 이상 하락했다. 때문에 2위인 이마트(908.7점), 3위인 카카오톡(906.3점)과의 격차가 다소 줄었다.

지난해 말 론칭한 현대차의 고급차 브랜드 제네시스는 브랜드 가치가 큰 폭의 상승세를 보이며 올해 전체 순위 31위에 올랐다. 자동차 부문서는 1위를 차지했다. 반면, 수입차 1위 브랜드인 BMW는 각종 화재 사고가 이어지면서 지난해 연말 순위(31위)와 비교해 44계단 급락하며 75위로 떨어졌다.

알파고 신드롬에 힘입은 다국적 인터넷 기업 구글은 지난해 대비 무려 20계단 상승하며, 14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대형 악재로 브랜드가치가 급락했던 브랜드들은 다시 회복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땅콩 회항' 사건으로 지난해 39위까지 추락했던 대한항공은 23계단 상승하며 16위에 이름을 올렸으며,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라는 대형 악재를 만나 33위까지 하락했던 삼성서울병원도 29위에 오르며 브랜드가치 회복세를 보였다.

중위권에서는 유니클로(53위)와 한샘(59위)의 상승세가 돋보였다. 유니클로는 국내 단일 패션 브랜드 중 최고인 1조원 매출을 기록했으며, 국내 가구 브랜드 한샘은 향후 중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어 지속적인 브랜드가치 상승세가 예상된다고 브랜드스탁은 평가했다.

반면, 경영 비리 혐의로 검찰의 대대적인 수사를 받은 롯데그룹 브랜드는 전반적으로 하락했다.

지난해 6위에 올랐던 롯데월드 어드벤처는 8위로 하락했고, 롯데마트(21위), 롯데리아(58위), 롯데렌터카(74위), 롯데시네마(82위), 롯데슈퍼(83위) 등 관련 브랜드들도 줄줄이 순위가 내려갔다. 지난해 100위권에 포함됐던 롯데호텔과 롯데면세점은 순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한편, 올해 신규로 순위에 진입한 브랜드는 제네시스를 비롯해 엔제리너스(84위), 넷마블(87위), 힐스테이트(88위), ADT캡스(89위), 서울대학교병원(93위), 헤라(94위), 서울우유(95위), 신라호텔(96위), 금호타이어(97위), 에스원 세콤(98위) 등 총 11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