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재계

재계 청문회, 총수들의 말 말 말



6일 국회에서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1차 청문회가 열렸다. 총 9개 그룹 총수가 모인 이 자리에서는 의원들의 날선 질의와 재계 총수들의 답변이 오갔다.

가장 많은 답변을 한 총수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다. 이 부회장은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해체, 전경련 탈퇴, 경영권 이양 가능성 등 다양한 깜짝 발언을 내놨다.

그는 "질타와 질문에서 미래전략실에 관해 많은 의혹과 부정적인 시각이 있는 것을 느꼈다"며 "국민 여러분께서 부정적인 인식이 있으시면 미래전략실을 없애겠다"고 말했다. 미래전략실은 삼성그룹의 경영 전반을 이끄는 컨트롤타워다.

이어 이 부회장은 "책임질 일은 책임지겠다", "전경련에 내는 지원금을 끊겠다", "훌륭한 전문 경영인이 있다면 얼마든지 경영권을 넘기겠다", "삼성물산 합병은 경영권 승계 목적이 아니다. 국민들에게 오해를 사고 비판을 받는다면 차라리 삼성물산 합병을 취소하고 싶다", "대통령과 독대했을 때 무슨 이야기였는지 솔직히 못 알아들었다" 등의 발언으로 참담한 심경을 전했다.

역대 청문회 증인 가운데 최고령인 정몽구 현대기아차 회장은 전경련 탈퇴 의향이 있는지 묻는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에게 "모든 것은 현대적으로 해야 한다. 늘 그렇게 해오고 있다"고 답했다.

정 회장이 질의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등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자 국민의당 김경진 의원은 "정 회장님이 답변하기 부적절한 상태라는 생각이 든다"며 최찬묵 변호인에게 대신 질문하기도 했다. 정 회장은 고령과 병력으로 청문회에 오래 있기 힘들다는 의견서를 사전에 제출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구본무 LG 회장은 자금 출연에 대해 "정부가 추진하는 일에 민간의 협조를 바라는 것이라 생각했다"며 문제가 된 전경련에 대해서는 "미국의 헤리티지 재단처럼 친목단체로 남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최태원 SK 회장은 "장학사업을 펼쳤던 선친을 생각하며 국민들께 사죄하라"는 더불어민주당 박범계 의원에게 "선친 명예를 더럽히지 않게 애쓰며 살겠다"고 답했다. 이어 "펜싱과 테니스 등 종목에 대한 육성을 필요로 한다는 명목으로 80억원을 요구받았다"며 "기업들이 할당을 받아 낸 것이지 제 결정이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그는 70억원 요구에 30억원 납부를 제안했느냐는 질의에 "(교도소에서)나와서 나중에 들었다"고 말했다.

김승연 한화 회장은 "대통령 독대 시 출연 이야기는 없었다"며 "현장에서는 국정 전반에 대한 얘기가 오갔고 추후 실무진에게 전해듣고 승인했다"고 밝혔다. 조양호 한진 회장은 "김종덕 전 문체부 장관으로부터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에서 사퇴하라는 통보를 받았다"며 "임명권자의 뜻으로 생각해 이유를 묻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고영태 씨 친척에 대한 인사 청탁을 받았냐는 질문에 "부탁을 해왔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답변했다.

손경식 CJ 회장은 이미경 부회장 퇴진에 관해 "조원동 전 수석이 대통령 뜻이라며 이 부회장이 자리를 비켜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전경련을 해체하라는 의원들의 요구에 "앞으로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겠다"며 "해체는 제 마음대로 되는 것이 아니기에 답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승철 전경련 부회장은 "(과거 기업 모금에 비해)청와대가 세세하게 참여했다는 게 차이"라며 강제모금임을 애둘러 표현했다. 그는 총수들에게 촛불집회에 참석했는지 묻는 안민석 의원에게 "참여했다"고 답해 "당신은 재벌이 아니잖아요"라는 말을 듣기도 했다.

한편 최광 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은 "삼성 합병에 대해 최경환 부총리를 만나지도 않았고 청와대와 논의한 적도 없다"며 "왜 물러나야 했는지 지금도 이해를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새누리당 이종구 의원이 "홍완선 전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장 연임에 반대한 이유를 알려달라"고 하자 "굉장히 긴 스토리이기에 다음에 말하겠다"고 즉답을 피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