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태평로 본관에 마련된 갤럭시노트7 교환장소에 반납된 갤럭시노트7 박스가 놓여 있다. /오세성 기자
갤럭시노트7의 교환, 환불 기간이 열흘 앞으로 다가왔지만 국내 회수율이 낮아 삼성전자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20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의 국내 회수율은 85%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갤럭시노트7 교환, 환불이 오는 31일 마감되는 것을 감안하면 실질적인 회수 기간은 이제 열흘밖에 남지 않은 것이다. 국내에 판매된 갤럭시노트7 약 50만대 가운데 7만5000대 가량이 아직도 실제 사용되는 셈이다.
국내 회수율을 해외에 비해 낮은 편이다. 회수율이 95%에 달하는 미국의 경우 오는 27일부터 T-모바일, 버라이즌, AT&T, 스프린트 등 현지 통신사들이 갤럭시노트7 충전을 막는 업데이트를 단행한다. T모바일은 27일, 버라이즌과 AT&T는 내년 1월 5일, 스프린트는 1월 8일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해 배터리 충전율 0% 제한을 시작한다. 사실상 기기 사용을 강제로 막는 것이다. 삼성전자는 5%도 대부분 기한 내 교환·환불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유럽은 배터리 충전율 30% 제한 업데이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회수율이 높은 뉴질랜드에서는 네트워크 차단이 이뤄졌다. 지난 10월 29일 한국에서도 갤럭시노트7 배터리 충전을 60%로 제한하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진행된 바 있다.
일단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 교환·환불 프로그램이 이달까지 운영되는 만큼 연말에 회수율이 급등할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다. 교환·환불을 미뤘던 소비자들이 대거 매장에 방문할 수 있다는 의미다. 실제 11월 13일 30%대에 머무르던 국내 회수율은 '갤럭시S7 엣지' 블루코랄·블랙펄 색상 출시 이후 급등해 한 달여 만에 85%까지 올라왔다.
삼성전자는 막판 회수율 변동 추이를 지켜본 후 이동통신 3사와 사용 차단, 교환·환불 기한 연장 등을 논의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네트워크 차단, 배터리 충전률 0% 제한보다는 수위가 낮은 조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국내 회수율이 낮은 만큼 강제 차단 등의 조치를 연내에 강행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에서 이러한 조치를 취하면 소비자의 거센 반발을 초래할 것"이라며 "회수율을 90% 중반까지 올린 후에나 충전 제한 등의 조치를 큰 무리 없이 단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추세라면 연내 회수가 완료되긴 어렵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