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SK하이닉스, 충북 청주 신규 반도체 공장에 2.2조원 등 총 46조원 투자

SK하이닉스가 지난해 경기도 이천에 준공한 세계 최대 반도체 공장 'M14' 전경.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가 충청북도 청주에 최첨단 반도체 공장을 건설한다.

SK하이닉스는 2조2000억원을 투자해 청주 산업단지 테크노폴리스 내 23만4000㎡부지에 낸드플래시 공장을 구축한다고 22일 공시했다. 내달 설계에 착수해 2017년 8월부터 2019년 6월까지 반도체 공장 건물과 클린룸을 완성하고 이후 시장 상황과 회사 기술역량을 고려해 장비 투입 시기를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결정은 지난 2015년 8월 단일건물 기준 세계 최대의 반도체 공장인 경기도 이천 소재 'M14' 준공식에서 SK하이닉스가 선언한 중장기 투자계획의 일환이다. 당시 SK하이닉스는 지속적인 업계 리더십 확보를 위해 46조원을 들여 경기도 이천과 충북 청주에 M14를 포함한 총 3개의 반도체 공장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최근 빅데이터, IT기기 성능 향상 등 ICT환경의 고도화로 메모리반도체 수요가 지속 증가하고 있다. 특히 차세대 저장장치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보급과 스마트폰의 고용량화 등의 영향으로 3D 낸드플래시 시장이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3D 낸드플래시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지만 공급이 늘어나기는 쉽지 않다. 미세공정을 도입하며 기술 난이도가 높아졌고 3D 낸드플래시 생산으로 전체 공정 수가 늘어나 생산에 필요한 장비도 증가하는 추세다. 장비 크기마저 대형화돼 생산업체들이 공급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신규 공장을 조성해야 한다. 수요 대응을 위한 생산량 확대가 어려운 상황인 셈이다.

SK하이닉스는 청주에 2008년 준공 이후 생산능력을 계속 확충한 낸드플래시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이천에 신규 조성한 M14에서도 내년부터 3D 낸드플래시 양산에 들어간다. 하지만 이 시설들로는 3D 낸드플레시 시장에 중장기적 대응을 하기 어렵다는 것이 SK하이닉스의 판단이다. 회사 측은 반도체 공장 건설에 통상 2년 이상이 소요되기에 이번 증설 투자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SK하이닉스는 SK그룹 편입 직후인 2012년 당시 최태원 회장의 결단으로 시설투자를 10% 이상 확대하는 선제적 투자를 실시한 바 있다. 전체 반도체 업계의 투자가 축소되는 불투명한 경영환경에서 단행된 최태원 회장의 승부수는 올해 예상되는 사상최대 실적 창출 등 안정적 경영활동의 밑거름이 됐다. SK하이닉스는 급변하는 시장에 성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앞으로도 선제적 투자 등 시의적절한 전략적 의사결정을 단행해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할 방침이다.

박성욱 SK하이닉스 사장은 "청주에 건설되는 신규 반도체 공장은 4차 산업혁명 등 미래를 대비하는 SK하이닉스의 핵심기지가 될 것"이라면서 "적기에 공장이 건설될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해 준 정부, 충청북도, 청주시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SK하이닉스는 중국 우시에 위치한 기존 D램 공장의 경쟁력 유지를 위해 보완 투자도 나선다. 2006년 준공된 우시공장은 지난 10년간 SK하이닉스 D램 생산의 절반을 담당하는 등 회사성장에 기여해왔다. 그러나 향후 미세공정 전환을 위한 추가 공간 확보가 필요해졌다. 적기에 추가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면 생산량 감소 등 효율 저하가 발생한다. SK하이닉스는 즉시 설계에 나서 내년 7월부터 2019년 4월까지 9500억원을 투자해 클린룸 확장을 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생산성과 경쟁력을 유지하고 D램 산업에서 리더십을 지속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