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헬로비전이 자사 케이블TV 방송을 인터넷TV(IPTV)와 같은 전송방식으로 시청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종합유선방송(SO)과 인터넷방송(IPTV)의 전송방식을 결합한 CJ헬로비전의 '케이블 융합 솔루션(CCS)'을 26일 승인한다고 밝혔다.
CCS는 케이블TV의 방송신호를 IPTV와 같이 자사 인터넷망을 통해 인터넷프로토콜(IP) 전송 방식으로 송신하는 새로운 융합형 전송방식이다. SO가 IPTV 전송방식을 접목하는 첫 번째 사례다.
CCS를 적용하면, 방송용·통신용 선로를 이중으로 구축할 필요 없이 하나의 선로로 유료방송과 기가급 인터넷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미래부는 이번 CCS 승인을 통해 주파수가 부족한 케이블TV의 한계를 극복하는 길이 열려 기가인터넷 확대, 양방향 서비스 속도 개선 등 시청자·이용자 편익이 증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CJ헬로비전은 지난 10월 말 영서방송 지역(강원도 원주·평창 등)에 CCS를 도입하기 위해 기술결합서비스 승인을 신청했다.
미래부는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를 통해 CCS 제공계획을 심사한 결과 시청자·이용자 권익 및 공정경쟁 등 측면에서 특별한 우려사항이 없어 조건 부과 없이 승인하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채널·요금·부가서비스 등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됐다.
이번 결정의 기반이 된 기술결합서비스 제도는 전송방식을 혼합 이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 골자며, 지난 10월에는 KT스카이라이프의 '접시 없는 위성방송(DCS)' 서비스가 승인된 바 있다. DCS는 위성방송과 IPTV의 전송방식을 결합한 형태의 서비스다.
특히 이번 결정으로 케이블TV 업계가 준비해 온 '케이블의 올(All)-IP 전환'의 첫 걸음을 내디뎠다는 데도 의미가 있다. 향후 CCS가 시장에 안착되고 케이블 업계 전반으로 확산될 경우 CCS 서비스 이용가능 지역이 전국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세계적으로 통방융합이 가속화되고 모든 방송기술이 올-IP 중심으로 수렴돼가고 있으며, 이를 반영해 미디어 관련 제도도 전송기술의 선택권을 다양하게 보장하고 있는 추세다.
현재 케이블TV는 CCS와 같은 기술결합서비스가 허용돼있으나 아직까지 전송기술별로 허가체계가 구분돼 있어 어떤 형태로든 전송방식의 혼합까지만 가능하고 완전한 올 IP형 전송방식 도입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따라서 케이블TV는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로부터 IP방식으로 받은 신호를 국사에서 케이블방식(RF)로 일단 변환한 후 다시 IP 방식으로 변환해야만 하는 한계가 남아 있다.
정부는 허가체계 통합을 위한 법령 개정에 시일이 걸리는 만큼 단기적으로 전송방식을 혼합 이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기술결합서비스를 도입하고, 케이블TV의 규제를 IPTV 수준에 맞춰 규제를 대폭 완화하겠다는 계획이다.
미래부 조경식 방송진흥정책국장은 "세계적으로 케이블TV가 올-IP 환경 하에 다양한 서비스 융합을 시도하는 추세를 반영해 낡은 규제를 과감히 개선하고 다양한 서비스 시도와 투자가 확대되는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