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영화

극장가에 '제2차 세계대전' 배경의 대작들이 몰려온다!

극장가에 '제2차 세계대전' 배경의 대작들이 몰려온다!

'얼라이드' '핵소 고지' '덩케르크' 줄지어 개봉

1998년 개봉한 '라이언 일병 구하기'와 2001년 개봉한 '진주만', 그리고 가장 최근에 개봉한 '퓨리'(2014년)까지 제2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한 영화들은 꾸준히 관객의 사랑을 받아왔다.

2017년 극장가에도 1월 개봉하는 영화 '얼라이드'를 비롯해 '핵소 고지'와 '덩케르크'까지 제2차 세계대전 당시의 실화를 배경으로 한 작품들이 줄지어 개봉하며 스크린을 장악할 예정이다.

얼라이드 포스터



먼저, 할리우드 거장 로버트 저메키스 감독과 연기파 배우 브래드 피트, 마리옹 꼬띠아르가 만나 화제가 된 영화 '얼라이드'는 정부로부터 사랑하는 아내 마리안 부세주르(마리옹 꼬띠아르)가 스파이일지도 모른다는 이야기를 듣게 된 영국 정보국 장교 맥스 바탄(브래드 피트)이 제한 시간 72시간 내에 아내의 무고를 증명하기 위해 진실을 파헤치는 이야기를 담았다.

각본가 스티븐 나이트의 가족이 제2차 세계대전 때 겪은 사연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된 것으로 영화는 당시 캐나다인 스파이와 프랑스 레지스탕스였던 여교사가 임무 중에 만나 결혼을 결심하지만 정보 기관의 반대에 부딪혀야 했던 실화를 재구성해 더욱 매혹적인 스토리로 탄생시켰다.

실제로 제2차 세계대전에서는 생사를 넘나드는 상황 속에서 함께 일하거나, 특히 부부로 위장한 남녀 스파이 사이에서 로맨스가 발생하는 일이 빈번했는데 '얼라이드'는 당시 위험하기에 더욱 뜨거웠던 스파이들의 러브 스토리를 스크린에 재현해 강렬한 드라마를 선사한다.

특히 극중 아내 마리안을 스파이로 의심해야 하는 맥스의 딜레마와, 맥스를 진심으로 사랑하는 마리안의 고백은 전쟁 속에 피어나는 사랑과 국가에 대한 충성심 사이에서 겪는 갈등을 담아내 극의 긴장감을 더욱 증폭시킨다. 단순한 전쟁 드라마에서 나아가 각본가가 직접 들은 실제 이야기를 각색함으로써 간절했던 스파이들의 로맨스를 흡입력있게 그려낸다. 오는 11일 개봉하며, 관객에게 강렬한 카타르시스와 여운을 선사할 것이다.

핵소 고지 포스터



2월 개봉을 확정한 '핵소 고지' 역시 제2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한 작품이다. 제2차 세계대전 오키나와 전투에서 혼자 맨몸으로 75명의 부상자를 구하고, 총을 들지 않은 군인 최초로 미군 최고의 영예인 '명예의 훈장'(Medal of Honor)을 받은 전쟁 영웅 데스몬드 도스의 실화를 영화화해 개봉 전부터 전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킨 바 있다.

할리우드 최고의 명배우에서 아카데미와 골든글로브 시상식을 휩쓸며 세계가 인정하는 감독이 된 멜 깁슨이 10년 만에 메가폰을 잡았으며, 할리우드 차세대 연기파 배우 앤드류 가필드가 실존 인물 데스몬드 도스 역을 맡아 선 굵을 감정 연기를 펼친다.

덩케르크



마지막으로 7월에 개봉하는 영화 '덩케르크'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프랑스 북부 덩케르크 철수 작전을 그린 작품이다.

'인터스텔라', '인셉션', '다크 나이트' 시리즈의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이 각본과 연출을 맡았으며 여기에 '레버넌트',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 톰 하디와 '스파이 브릿지'의 마크 라이런스가 주연을 맡았다. '덩케르크'는 33만 여 명의 영국군과 연합군이 독일 기갑부대의 포위를 뚫고 철수하는 과정을 거대한 스케일로 담아낼 예정이다.

이처럼 올해 극장가는 할리우드 실력파 감독과 탄탄한 배우진을 바탕으로 제2차 세계대전의 실화를 드라마틱하게 재현한 작품들이 풍성하게 채우며, 관객에게 색다른 감동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