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미국 법인 팀 백스터 부사장이 4일(현지시간) 만달레이베이 호텔에서 삼성전자의 IoT 강화 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삼성전자
【라스베이거스(미국)=오세성 기자】 삼성전자가 4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호텔에서 프레스 컨퍼런스를 통해 가전제품들의 사물인터넷(IoT) 연결성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특히 삼성전자는 1억5000만 달러 규모의 '삼성 넥스트 펀드'를 조성해 전 세계 IoT, 가상현실, 인공지능 등 유망 기술 분야 스타트업 발굴·육성에 나설 계획이다. 업계는 향후 IoT 생태계 강화에 이 펀드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다.
'소비자가전전시회(CES) 2017' 개막 하루 전에 열린 이번 컨퍼런스에는 전 세계 미디어와 업계관계자 등 1500여명이 참관했다.
삼성전자 미국 법인 팀 백스터 부사장은 "삼성전자는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라이프 스타일을 고려한 디자인으로 소비자 일상에 즐거움과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며 "2017년에는 삼성전자의 주요 가전제품과 TV가 IoT에 연동되고 이를 바탕으로 더 많은 서비스가 가능해 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는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빅데이터, 오픈 API 등의 기술에 연동되고 통합 앱으로 간편하게 제어해 소비자들을 진정한 IoT 생활에 다가가게 해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2017년형 삼성 스마트 TV는 TV와 주변기기들을 하나의 리모컨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데서 더 나아가 '스마트 허브' 사용자경험(UX)을 모바일까지 확장시켰다. 스마트폰에서 '스마트 뷰' 앱을 실행시켜 가상 리모컨으로 활용할 수 있고 선호 콘텐츠 알림을 실시간으로 받는 것도 가능하다. 음성인식 기능 강화로 콘텐츠 검색도 보다 용이해졌다.
두 개의 독립된 세탁기를 일체형으로 설계한 '플렉스워시'와 건조기 2개를 하나로 만든 '플렉스드라이'도 소개됐다. 상부의 3㎏급 전자동 세탁기와 하부의 21㎏급 대용량 드럼 세탁기가 결합된 플렉스워시와 상부의 소용량 건조기, 하부의 대용량 건조기로 구성된 플렉스드라이는 세탁물의 종류·양·시간에 맞춰 작동시킬 수 있는 제품이다. 두 제품 역시 스마트홈 기능이 탑재돼 시작·중지·모니터링 등 모든 세탁 과정을 스마트폰으로 제어할 수 있다.
팀 백스터 부사장이 삼성전자가 구상하는 IoT 생태계를 설명하고 있다. /삼성전자
기존 '푸드 매니지먼트', '패밀리 커뮤니케이션', '엔터테인먼트' 기능이 강화된 '패밀리허브 2.0'도 이 자리에서 공개됐다. 패밀리허브 2.0은 음성 인식 기능, 가족 구성원 별 개인 계정 설정 기능,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선 등 사용자들의 니즈가 반영돼 편의성이 대폭 높아졌다. 패밀리허브는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CES 혁신상'을 수상했다.
이날 공개된 냉장고, 월 오븐, 콤비 오븐, 쿡탑, 후드, 식기세척기로 구성된 프리미엄 주방가전 패키지 역시 고급스러운 디자인과 첨단 기능은 물론 IoT 연결성이 강화됐다. 프리미엄 주방가전 패키지 모든 제품은 와이파이를 통한 원격 제어가 가능해 스마트폰으로 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스토브나 쿡탑 사용 시 후드가 자동 작동하는 기능도 갖췄다.
스마트워치 '기어 S3' 등 웨어러블 기기도 신규 파트너십과 애플리케이션 추가로 연결성이 강화됐다. 삼성전자는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즐길 수 있는 '스포티파이', 자동차의 연료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BMW 커넥티드'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공개했다. 세계적 스포츠웨어 '언더아머'와 협력해 운동, 영양, 수면 등 건강 정보를 관리하는 앱도 소개됐다. 기어S3, 기어S2, 기어 핏2 등을 iOS와 연동해 쓸 수 있도록 해주는 앱 '커넥트 투 기어'도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