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산전이 6년 연속 글로벌 100대 혁신기업에 선정됐다. 구자균 LS산전 회장(오른쪽)과 데이비드 브라운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 글로벌 부사장이 트로피 전달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LS산전
LS산전이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전 톰슨 로이터 IP & 사이언스 사업부)가 선정하는 글로벌 100대 혁신기업에 6년 연속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특히 에너지 부문에서 글로벌 톱 5 수준의 지식재산권(IP)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LS산전은 글로벌 데이터베이스 및 컨설팅서비스 기업인 클래리베이트가 발표한 '2016 글로벌 100대 혁신기업'에 LG전자, 삼성전자와 함께 6년 연속 선정돼 16일 경기도 안양 LS타워에서 트로피 수여식을 가졌다. 구자균 LS산전 회장은 데이비드 브라운 글로벌 부사장, 데이비드 류 아시아태평양 총괄 디렉터, 김진우 한국지사장 등 클래리베이트 인사들과 만나 환담을 갖고 혁신기업 트로피를 전달 받았다.
구자균 회장은 "새로운 사명으로 출발하는 클래리베이트 100대 혁신기업에 다시 선정돼 의미가 남다르다"며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있어 IP 역량과 기업 혁신에 우선순위를 두고 노력해온 점을 인정받아 더욱 기쁘다"고 말했다. 이어 "석유화학·에너지 분야에서 5개사 만 선정된 가운데 LS산전이 이름을 올렸다는 점은 의미가 크다"며 "R&D 혁신이야말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최우선 가치라는 경영기조를 유지해 IP 포트폴리오를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데이비드 브라운 클래리베이트 부사장은 "글로벌 혁신이라는 새로운 시대로 나아가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LS산전에 박수를 보낸다"면서 "첫 선정 이후 6년 동안 줄곧 세계의 혁신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선정된 만큼 앞으로도 더 높은 수준의 혁신을 이룰 수 있길 기대한다"라고 화답했다.
클래리베이트는 이번 수여식에 앞선 지난 11일 ▲종합적인 특허 출원 규모 ▲특허 승인 성공률 ▲세계적인 적용 범위 ▲영향력 등 포괄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세계 주요 기업의 혁신성을 평가해 2016년 100대 혁신기업을 발표했다.
올해로 여섯 번째를 맞은 100대 혁신기업 보고서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특허 출원 규모는 감소한 반면 승인 성공률은 증가해 질적인 향상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선정 기업들은 2015년 기준 총 4조 달러 이상의 수익을 창출했으며 R&D 투자의 경우 S&P 100대 기업 평균 지출액 대비 평균 9.1% 높은 2270억 달러 이상을 투입했다고 클래리베이트는 분석했다.
LS산전은 IP 분야에 있어 양적 확대는 물론 특허 승인 성공률, 해외 4개 지역 출원 비율 및 피인용도 등 질적 측면에서도 글로벌 최고 수준의 평가를 받아 세계 100대 혁신기업에 선정됐다. LS산전은 석유화학·에너지 분야로 분류됐는데 이 분야로 선정된 기업은 프랑스의 알스톰과 토탈, 미국의 쉐브론과 엑손모빌 등 LS산전을 포함해 5개사에 불과하다.
LS산전은 2008년 구자균 회장의 CEO 취임 이후 전력과 자동화 부문에서 국내외 IP 포트폴리오를 강화해왔다. 전략 사업인 스마트 에너지 솔루션 분야에서도 특허 창출 활동을 적극 전개했다. 지난 2015년에는 새로운 미션인 '퓨쳐링 스마트 에너지'를 선포하고 ▲정보통신(ICT)기술과 DC(직류)기반 에너지 효율화 솔루션 ▲스마트 전력 송·변전 분야 등에 집중 R&D 투자를 단행하기도 했다.
LS산전 관계자는 "스마트 에너지 분야의 다양한 솔루션 제공을 위한 연구개발에 집중해 최근 5년 간 국내 2338건, 해외 2959건의 특허를 출원했다"며 "미래 유망기술 영역을 발굴해 기술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지식재산권으로 지속 축적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