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 배터리 자체결함 결론



삼성전자가 23일 서울 서초사옥에서 프레스 컨퍼런스를 열고 갤럭시노트7 발화 원인이 배터리 결함이라고 발표했다.

그간 삼성전자는 발화원인 규명을 위해 글로벌 과학회사 UL, 과학기술 분석 전문기관 Exponent, 글로벌 검인증 기관 TUV 라인란드 등 해외 전문기관에서도 독립적인 조사를 진행했다. 이날 발표에는 UL의 컨슈머비즈니스 부문 사지브 지수다스 사장, Exponent의 수석 연구원 케빈 화이트 박사, TUV 라인란드 홀거 쿤츠 부사장이 참석해 각각 맡은 분야의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갤럭시노트7 발화현상 재현을 위해 삼성전자는 제품 20만대, 배터리 3만개로 대규모 충방전 시험을 시행했다. 고동진 삼성전자 사장은 "지난 수 개월간 철저한 원인 규명을 위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 제품 뿐 아니라 제조, 물류, 보관 등 전 공정을 원점부터 총체적으로 조사했다"며 "정확한 원인 규명을 위해서는 발화현상을 실험실에서 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규모 재현 테스트 설비를 구축해 사용자 조건과 유사한 환경에서 발화현상을 재현하고 이를 통해 정확한 분석을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삼성전자는 발화현상 재현에 성공했으며 갤럭시노트7에 채용된 삼성SDI 배터리와 중국 ATL 배터리에서 각기 다른 원인으로 발화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했다. 해외 전문기관들도 배터리 자체 결함으로 의견을 모았다. UL은 갤럭시노트7 자체에서 발화와 연관된 문제를 발견하지 못했다. 대신 삼성 SDI가 생산한 배터리의 상단 모서리에서 눌림 현상이 발생하고 분리막이 얇아 내부에서 단락을 발생시킨다고 확인했다. ATL 배터리에 대해서는 ▲비정상적인 융착돌기가 있고 ▲절연테이프를 붙이지 않았으며 ▲분리막이 얇은 것을 지적했다.

Exponent 역시 갤럭시노트7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분석한 결과 발화를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삼성SDI 배터리에 대해서는 음극탭 부위 젤리롤 모서리에 눌림이 발생한 것을 발화 원인으로 꼽았고 ATL 배터리는 비정상적인 융착돌기와 그로 인한 절연테이프·분리막 파손을 발화 원인으로 분석했다. TUV 라인란드 역시 갤럭시노트7 제조공정과 배터리 물류시스템 등에서 배터리 안전성을 저해할 수 있는 요인은 발견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배터리 발화원인을 규명하며 재발 방지 대책도 내놨다. 삼성전자는 발화 원인을 개선하는 동시에 배터리 내부 문제를 확인할 수 있는 특수 장비를 도입하고 배터리와 완제품에 대한 대량 충방전 테스트, 사용자들의 실제 환경을 고려한 가속 시험을 강화하는 등 '8포인트 배터리 안전성 검사' 프로세스를 도입한다.

8포인트 배터리 안전성 검사는 ▲배터리 안전과 내구성 검사 주기와 횟수를 대폭 확대 ▲배터리 외관 이상여부 검사 ▲내부 극판 눌림 등 발견하는 엑스레이 검사 ▲배터리 내부 융착과 절연 상태 등을 확인하는 해체 검사 ▲배터리 누액 발생을 감지하는 TVOC 검사 ▲상온에서 배터리 전압 변화를 감지하는 델타OCV 검사 ▲소비자 사용 조건에서 충방전을 반복하는 충방전 검사 ▲소비자 사용 환경에 맞춰 제품 출고 전 집중 검사를 하는 사용자 조건 가속 시험 등으로 구성됐다.

삼성전자는 핵심 부품에 대한 설계와 검증, 공정관리를 전담하는 '부품 전담팀'을 구성한다. 또한 배터리 실장 공간을 추가 확보해 스마트폰을 떨어뜨리더라도 물리적 충격을 줄이는 장치를 적용하는 등 제품 기획 단계부터 다중 안전장치를 적용할 방침이다.

고동진 삼성전자 사장은 "배터리 설계와 제조 공정의 문제점을 출시 전에 제대로 검증하지 못한 것에 대해 책임을 통감한다"며 "경영 전반에 걸쳐 품질 최우선의 경영 체제를 강화해 제품 안전성에 있어서도 새로운 혁신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