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한국 소비자, 온라인서 생활용품·식품 구매 가장 활발

생활용품·식품류 한국, 중국, 인도 3국의 온라인 구매 경험률 비교/닐슨코리아



한국 소비자의 온라인 구매 경험률/닐슨코리아



한국 소비자, 온라인서 생활용품·식품 구매 가장 활발

한국 소비자들이 온라인에서 생활용품 및 식품 구매를 가장 활발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닐슨이 발간한 '글로벌 커넥티드 커머스 보고서'에 따르면 '가정용 청소용품 및 제지류' 제품의 한국 온라인 구매 경험률(44%)이 조사에 참여한 주요 63개국 중 가장 높게 조사됐다. '미용 및 개인 위생용품', '포장 식품', '신선 식품' 부문의 구매 경험률은 모두 1위와 근소한 차이로 2위를 차지했다.

'글로벌 커넥티드 커머스 보고서'는 2016년 3분기 중에 아시아 태평양 지역과 유럽, 남미, 중동·아프리카 및 북미 지역의 63개국 3만여명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조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본 조사는 온·오프라인 유통 채널을 자유롭게 넘나드는 '옴니채널(Omni-Channel)' 환경에서의 전세계 소비자들의 쇼핑 행태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됐다.

성장 잠재력이 높은 생활용품 및 식품의 국가별 온라인 구매 경험률을 분석한 결과 한국의 '가정용 청소용품 및 제지류' 구매 경험률이 44%로 조사에 참여한 63개국 중 가장 높았다. 이어 중국(38%)과 인도(37%) 순으로 나타났다. '미용 및 개인 위생용품'의 구매 경험률은 한국(48%)이 인도(50%)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중국(47%)이 그 뒤를 이었다. 식품 시장 내 '포장 식품'의 구매 경험률은 중국이 47%로 가장 높았으며 한국(43%)과 인도(34%)가 뒤를 이었다. '신선 식품' 구매 경험률 역시 중국(40%)이 근소한 차이로 한국(39%)보다 높았다. 인도(35%)가 3위로 나타났다. 세계 평균적으로 생활용품 및 식품 온라인 구매 경험률이 20~30% 대에 머무르고 있는 점을 고려 할 때 중국, 한국, 인도의 일상 소비재 온라인 구매가 매우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 소비자들의 온라인 구매 경험률이 가장 높은 부문은 '패션(67%)'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도서·음악·문구(66%)', '가전제품(49%)', '미용 및 개인 위생용품(48%)', '이벤트 입장권(47%)', '여행(46%)', '가정용 청소용품 및 제지류(44%)', '포장 식품(43%)'. 'IT 및 모바일(42%)', '가구·인테리어/공구(41%)', '신선 식품(39%)', '헬스케어 제품(33%)', '음식 배달 서비스(27%)', '꽃·선물세트(21%)', '애완동물 사료 및 용품(19%)'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신은희 닐슨코리아 대표이사는 "한국 소비자들이 온라인에서 생활용품과 식품을 구매하는 경험률은 중국, 인도와 함께 세계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기업들은 이 분야에서 점차 진화해가고 있는 이커머스의 지형을 이해하고 소비자들을 공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