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하지만 소화불량과 같은 병은 아직도 치료가 쉽지 않고 재발이 자주 되고 있다. 소화불량이 간단해 보이지만 발생되었을 때는 몹시 괴롭다. 그렇다면 소화불량은 치료할 수 없는 것일까?
속쓰림, 조기 포만감, 만복감, 상복부 팽만감, 구역 등의 증상을 가지고 있는 소화불량은 치료가 쉽지 않지만 못 고치는 병은 아니다. 이때 필요한 것은 소화불량 원인을 효과적으로 찾는 것이 중요하다.
위편장쾌 네트워크 한의원 건대입구점 홍종희 원장은 "병은 단순히 생리학적 현상만 포함하지 않는다. 인간의 심신에 관한 모든 현상뿐만 아니라 문화적 현상으로서의 측면을 가지고 있다. 물론 목표는 병을 치료하는 것이다. 소화불량 치료 역시 목표는 재발까지 막은 완전한 치료가 이루어지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또한 "단순히 소화불량 원인을 기질적인 문제로만 보고 소화제에 의존한다면 효과를 보기 어렵다. 소화불량 진단에 주로 사용되는 내시경은 기질적인 문제를 찾을 수 있지만 위의 기능적인 문제를 찾기는 어렵다. 하지만 소화불량은 기능적인 문제로 나타날 때도 많기 때문에 이러한 원인을 찾을 수 있는 효과적인 진단이 필요하다"라고 전한다.
다행이 의학 기술은 위장의 기능적인 문제를 진단할 수 있을 만큼 발전했다. 위편장쾌 네트워크 한의원 측에 따르면 위장공능검사로 환자의 위장기능상태를 충분히 진단해낼 필요가 있다. 환자의 위장이나 대장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알 수 있는 위장공능검사를 통해 위의 운동성 등을 정확히 파악해야 하며 이에 따라 소화불량의 근본적인 원인 파악 및 향후 치료 기간의 예측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본격적인 치료는 위장공능검사 후 진단 결과에 따라 맞춤 처방으로 이루어지고 모든 처방이 정확한 진단 결과에 맞춰 내려져야 치료율을 높일 수 있다. 홍 원장에 따르면 소화불량 증상을 점차 줄여가며 없앨 수 있는 위편탕과 같은 한약 처방으로 속쓰림, 신물, 메스꺼움, 구역질 등 소화불량과 동반되는 증상을 없앨 필요가 있다. 위장 기운의 회복, 소화력 향상 등에 보탬이 되는 건위단과 특정 주파수와 전류 형태로 위장과 관련된 경혈에 자극을 줘 기능 활성화에 기여하는 경락신경자극술도 도움이 된다는 설명이다.
홍 원장은 "소화불량 원인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지고, 그에 맞는 치료가 이루어진다면 참기 어려운 소화불량 지속 증상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소화불량 원인을 찾아내는 적절한 치료방법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꼭 기억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