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스] 중국 한국관광 금지령에 관광공사와 지자체 대응마련 고심
중국이 사드 보복의 일환으로 한국관광을 전면 금지함에 따라 한국관광공사와 각 지자체가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 2일 중국 내 주요 여행사를 대상으로 오는 15일부터 한국행 단체관광 판매 중단 지시를 내렸다. 씨트립과 취날왕, 투니우 등 중국 대형 여행사는 즉각 상품 판매를 중단했다. 이는 본격적인 한국 여행 유치 실적 감소 현상을 초래할 것으로 우려된다.
5일 한국관광공사와 여행 업계 등에 따르면 중국 대형 여행사 씨트립(C-Trip)을 통해 한국관광 상품을 구매한 유커(중국 관광객) 100여명이 한국 여행 일정을 취소했다. 취소 사례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관광공사 측은 "비상대책본부를 구성하고 동향을 파악하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 당장 어떤 계획을 갖고 있다고 뚜렷하게 말하기가 어렵다"며 "올해 관광 시장 전망은 밝지만은 않다"고 말했다.
관광공사는 "중국 여행사를 통하지 않고, 항공권부터 숙박까지 개개인이 전부 다 예약해서 오는 순수 개별관광객이 아니고서는 한국 관광이 어렵지 않을까 생각된다. 에어텔 조차 여행사를 통해야 하기 때문에 단체관광객은 물론이고, 개별관광객 수도 대폭 감소할 전망"이라고 암담한 실정을 토로했다.
중국 관광객을 주 타깃으로 기획한 국내 인기 드라마의 세트장을 개발한 관광상품과 '평창 동계올림픽'과 연계한 강원관광 상품 등에 대해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관광공사 관계자는 "중국 내에 이러한 기획 관광상품의 광고가 어느 정도 진행됐는지 알 수 없다. 빠른 시일 내에 상황이 파악되는 대로 대책을 세울 것"이라고 전했다.
관광공사는 중국의 방한금지령에 대한 대응책으로 신흥시장 확대를 통한 관광시장 다변화, 대만·홍콩 등 중화권 시장에 대한 지속적 관리 등을 집중 모색할 계획이다.
또,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시장 지속 확대, 전통 방한 시장인 일본 회복세에 따른 마케팅 강화 등 중국에 편중돼 있는 관광시장의 다변화도 추진하기로 했다
지방자치단체도 사드에 따른 중국 관광객 급감 대책마련에 나선다.
경기도는 6일 남경필 지사 주재로 도정점검현안회의에서 관련 내용을 논의한다. 경기관광공사와 도내 관광업계 관계자 100여명과 함께 민관 합동 사드 보복 대책회의도 연다.
중국 정부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대만과 홍콩 시장의 관광 홍보 마케팅을 위해 이달 중에 대만에서 경기-인천-서울 연합으로 대규모 자유여행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대구시는 지난 4일 대(對)중국 전력추진본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중국 관광객 감소에 따른 대응전략으로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시장을 겨냥한 마케팅 전략을 세우는 한편 동남아 관광객의 한국 입국시 비자면제를 중앙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중국인 단체관광객이 아닌 개별관광객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 구축도 적극 검토키로 했다. 이를 위해 대구시는 지역여행업계에서 활용하고 있는 앱 운영 실태를 조사한 후 관광지 할인, 숙박예약 등이 가능한 대구경북관광 모바일앱을 개발·운영해 관광정보 접근성이 용이하도록 할 계획이다.
전남도 역시 일본과 동남아 시장으로 눈을 돌린다. 5일 전남도에 따르면 일본 시장을 대상으로 전세기 상품을 개발하고 한일 크루즈 유치를 추진한다. 지난달 22일 기타큐슈 설명회, 23일 여행사 팸투어를 실시했다. 오는 5월 3일부터 1주일간 일본 현지 여행박람회 참가와 후쿠오카, 기타큐스 관광설명회를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