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LG전자, 2017년형 디오스 냉장고로 디자인·편의성 잡아

LG전자 모델이 2017년형 LG 디오스 얼음정수기냉장고를 시연하고 있다. /LG전자



LG전자가 LG만의 차별화된 기능을 갖춘 2017년형 LG 디오스(DIOS) 냉장고를 선보였다.

LG전자는 14일 ▲고성능·고효율에 10년 무상보증을 지원하는 '인버터 리니어 컴프레서' ▲신개념 수납공간 '매직스페이스' ▲고급스럽고 깔끔한 디자인 ▲무선인터넷(Wi-Fi)을 통한 스마트 기능 등을 모두 갖춘 상냉장·하냉동 타입의 디오스 냉장고 'V8700' 4종과 디오스 양문형 냉장고 신제품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신제품 LG 디오스 얼음정수기냉장고(J829SB36)는 824리터 용량의 '매직스페이스' 냉장고에 얼음정수기를 결합한 융복합 냉장고다. 사용자는 냉장고와 정수기를 따로 놓을 필요가 없어 효율적인 주방 공간 사용이 가능하고 냉동실을 열지 않아도 시원한 얼음을 바로 먹을 수 있다. 정기적인 케어 서비스, 3단계 안심필터 등을 통해 깨끗한 물과 얼음을 제공하며, 출수구의 높이를 25㎜ 높여 긴 컵도 편리하게 쓸 수 있다. 얼음정수기 상단의 터치 패널에서 120㎖, 500㎖, 1L 중 원하는 용량 버튼을 터치한 후 레버를 누르면 선택한 용량만큼 출수되는 정량급수 기능도 있다.

냉장고 상단에는 블루투스 스피커가 탑재돼 사용자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의 음악을 무선으로 즐길 수 있다. 전면은 스테인리스 소재 '샤이니 다이아블랙' 디자인으로 품격을 더했다.

870리터 용량의 '더블 매직스페이스' 냉장고(F879SN53)는 냉장고 문을 여는 빈도와 냉기손실을 절반으로 줄여준다. 가족들이 자주 찾는 간식, 음료 등을 편리하게 꺼내고 넣을 수 있는 수납공간인 '패밀리 스페이스'는 오른쪽에, 주부들이 많이 사용하는 반찬과 소스, 자주 먹는 과일 등을 보관하는 '시크릿 스페이스'는 왼쪽에 배치했다. 또 870리터 용량의 '매직스페이스' 냉장고(F879NS33)는 빛과 바람에 따라 움직이는 바다 물결을 표현한 '샤이니 루체' 패턴을 외관 디자인에 적용했다. 냉장고 내부의 냄새를 줄여주고 식중독 유발 가능균을 99.999% 제거해주는 'UV안심제균+'도 탑재됐다.

상냉장·하냉동 디오스 냉장고 신제품 4종은 매직스페이스 면적이 기존 제품 대비 14% 넓어 음식물을 넣고 꺼내기가 쉽다. 매직 스페이스 도어를 여닫을 때 자동으로 접히는 '오토 와이드 테이블'을 탑재해 사용 편의성도 높였다. 매직스페이스를 여는 버튼이 문 아래쪽에 숨어있는 '히든 버튼'을 적용했고 기존 곡면 도어 핸들도 깔끔한 스퀘어 형태로 변경했다.

LG전자는 메탈 디자인을 적용한 825리터 용량의 디오스 양문형 냉장고(S829NS35) 신제품도 선보인다. 도어 핸들 등 외관 디자인을 기존 상냉장·하냉동 디오스 냉장고와 통일시켜 LG 디오스만의 깔끔하고 세련된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강화했다. 이 제품은 '프레시 밸런스' 기능을 야채실에 탑재해 신선식품을 더 오래, 신선하게 보관해준다. 육류, 생선 등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35도 특냉실'도 갖췄다.

한편 2017년형 LG 디오스 냉장고 전(全) 제품은 스마트폰 '스마트씽큐)'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집 밖에서도 냉장고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LG전자 박영일 H&A사업본부 키친어플라이언스사업부장(부사장)은 "소비자 니즈를 반영한 차별화된 기능을 갖춘 냉장고 신제품을 지속 선보여 주방 문화를 선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