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석유화학/에너지

연내 전국 주유소 1만2000개 이내로… 지난해 219곳 폐업

지난해 말 도로공사에서 운영하는 고속도로 휴게소 셀프주유소에서 차량들이 기름을 넣고 있다. /오세성 기자



국내 주유소가 점차 줄고 있다. 업계의 과잉경쟁으로 경영난에 빠진 주유소가 늘어나고 있는 탓이다.

19일 한국주유소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폐업한 주유소는 전국에 219곳에 달했다.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에서 영업중인 주유소는 1만2010곳으로 1년 전인 2015년 12월과 비교해 168곳이 줄어든 숫자다.

휴업신고를 한 주유소도 2015년 12월 538곳에 비해 늘어난 544곳으로 집계됐다. 업계는 이들 주유소의 상당수가 사실상 폐업한 것으로 보고 있다. 주유소를 폐업하려면 시설철거와 토양 정화 등으로 평균 1억5000만원이 드는데 이를 감당하기 어려워 폐업이 아닌 휴업을 택했다는 분석이다.

주유소 감소의 원인으로 업계는 과잉경쟁을 꼽는다. 우리나라에 적정 주유소 수는 8000곳 내외인데 4000곳 이상 초과됐다는 것이다. 실제 주유소는 2010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했다. 2010년 1만3004곳에서 2011년 1만2901곳, 2012년 1만2803곳, 2013년 1만2687곳, 2014년 1만2475곳, 2015년 1만2178곳으로 지속 감소 중이다. 2012년 도입된 알뜰주유소도 공급과잉에 일조했다는 시각이다.

한국주유소협회는 올해 말에 국내 주유소 수가 1만2000곳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관측했다. 이에 한국주유소협회와 한국석유유통협회 등은 경쟁 완화와 경영난 극복을 위해 경북 김천에 위치한 한국도로공사 본사에서 항의 집회도 열었다. 지난 16일 집회를 연 이들은 "도로공사가 고속도로 휴게소·알뜰주유소 위탁운영 계약 연장을 무기로 기름을 최저가에 판매하도록 강제하고 있다"며 "도로공사의 개입이 시장을 왜곡해 고속도로 주변 주유소들이 심각한 경영난에 빠졌다"고 주장했다.

전국 1168곳 알뜰주유소 가운데 도로공사가 운영하는 고속도로 알뜰주유소는 167곳이다. 이들 주유소와 휴게소 운영권 입찰을 붙이는 과정에서 도로공사가 기름 판매가를 주요 평가 잣대로 삼기에 사업자들이 기름값을 과도하게 낮춘다는 것이다.

주유소협회 관계자는 "도로공사가 우리의 요구를 계속 외면하면 공정거래위원회에 불공정거래 행위로 제소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