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르포] LG디스플레이 파주사업장, 최고 화질 이렇게 구현한다

경기도 파주 LG디스플레이 공장에서 연구원들이 나노셀 TV에 적용되는 편광판을 살펴보고 있다. /LG디스플레이



【파주(경기도)=오세성기자】 TV 업계에서 더욱 생생한 색을 전하고자 하는 화질 경쟁이 치열하다. 과거 TV를 정면에서 볼 때 완벽한 화질을 제공하려 노력하던 기업들은 이제 보다 넓은 시야각에서 왜곡 없는 색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LG전자는 올해 '나노셀' 기술을 적용한 '슈퍼 울트라HD TV'를 출시했다. 이 TV는 패널에 1나노미터(㎚) 크기 미세 분자구조를 활용해 정확한 색을 표현한다. LG전자의 슈퍼 울트라HD TV 패널을 생산하는 LG디스플레이 파주 사업장을 지난 17일 방문했다.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LG디스플레이 파주 사업장은 상암월드컵경기장 8배 수준인 165만5000㎡규모의 디스플레이 생산단지다. 현재 LCD 생산라인인 7세대 공장(P7), 8.5세대 공장(P8, P9)을 비롯해 올레드 생산라인(E3, E4)과 모듈 공장이 운영되고 있으며 기술향상을 위한 R&D 센터도 입주해 있다.

파주 사업장에서 가장 눈에 띄는 건물은 P9 공장이다. 아파트 30층과 동일한 높이 86m에 길이 265m인 이 건물의 내부는 30층이 아닌 6개 층으로 이뤄졌다. LCD 패널을 제조하는 설비들의 크기가 십여 미터에 달할 정도로 커서 일반 아파트 4~5개 층 높이가 한 층이 되기 때문이다.

P9 공장에서는 2200×2500㎜ 크기의 원판유리 기판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만든다. 한 장의 유리기판에는 컬러 필터를, 한 장에는 액정을 제어하는 반도체막을 입히고 두 기판 사이에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액정을 넣어 LCD 패널을 만든다. 여기에 편광판과 각종 회로를 부착하면 LCD 모듈이 완성된다.

LG디스플레이 파주사업장 박원락 총무담당은 "화소 하나당 반도체 한 개가 들어간다"고 덧붙였다.

LG디스플레이 박원락 총무담당이 파주사업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오세성 기자



디스플레이 생산에는 청정도가 중요하다. 제조 과정에서 먼지가 유입되면 불량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LCD 생산 라인의 대부분 작업은 거대한 로봇들에 의해 자동으로 이뤄진다. 1950×2250㎜ 크기인 7세대 LCD 패널을 만드는 P7 공장은 24시간 가동되지만 내부에서 사람의 모습은 거의 보이지 않았다. 그럼에도 곳곳에 기계 작동 상태를 알려주는 모니터가 배치되어 있었다.

박원락 총무담당은 "과거에는 조당 54명이 근무하며 생산라인 안에 들어갔었다. 생산라인의 모니터들은 그들이 사용하던 장비"라며 "요즘은 수율을 높이기 위해 생산라인 인원을 조당 10~15명으로 줄였다. 다른 인원들은 공장 1층 원격조종실에서 ROS(Remote Operate System)라는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해 근무한다"고 설명했다.

공장 건설을 허가하고 2005년 준공식에 참석했던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도 이 곳에 들어가지는 못했다. 한 LG디스플레이 관계자는 "휴전선과의 거리가 10㎞에 불과해 공장 건설 허가가 안 나왔었다. 당시 손학규 경기도지사가 노무현 대통령을 설득한 끝에 지금의 파주사업장이 생겼는데, 준공식에서 노 대통령이 생산라인을 둘러보고 싶어 했다. 사람이 들어가면 오염이 발생하니 결국 안에 들어가진 못했고 대신 생산라인을 볼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드나드는 사람 수를 줄인 결과 먼지가 줄어들었고 수율도 높아졌다. P7공장은 1㎡당 0.3㎛(미크론·1㎜의 1000분의 1) 크기의 먼지가 1000개 미만으로 나온다. 공정에 따라서는 100개 수준으로도 떨어지기에 초미세먼지도 구경할 수 없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LG디스플레이의 LCD 패널 수율도 모두 90% 이상으로 올라왔다.

박원락 총무담당은 "P7의 경우 월 24만장의 패널을 생산하는데 불량률이 낮으니 제품 가격도 많이 내려갔다"며 "2010년 65인치 TV 가격은 1000만원 수준이었지만 이제는 같은 크기가 200만원 남짓"이라고 말했다.

LG디스플레이는 10세대 공정을 적용한 P10 공장을 2019년 가동 목표로 건설 중이다. P10은 축구장 14개 크기로 세계에서 가장 큰 올레드 생산 공장이다. 이곳에서는 TV용 65인치 이상 대형 올레드 패널과 스마트폰용 플라스틱 올레드 패널을 생산할 예정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