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이희영 TV상품기획부장이 자사 나노셀 기술을 삼성전자의 퀀텀닷 기술과 비교설명 하고 있다. /오세성 기자
"삼성 QLED TV요? 자발광도 아닌 걸 QLED라고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하니까 학계에서도 인정 못 받잖아요. QD시트는 광량 조절 소재가 아닙니다. 그저 필터링 역할일 뿐이에요. 광량 조절도 못 하는데 무슨 QLED입니까."
LG전자가 작심발언을 쏟아냈다. 삼성전자가 올해 내놓은 'QLED TV'에 대해 시장과 소비자 혼란을 야기할 뿐이라는 비판적 입장을 다시 한 번 드러낸 셈이다.
LG전자는 17일 LG디스플레이 파주사업장에서 자사 '슈퍼 울트라HD TV'에 적용한 '나노셀' 기술에 대해 설명했다. 이 자리에서 LG전자와 LG디스플레이 등 양사는 "QD시트는 2세대, 나노셀은 3세대"라며 기술 우위를 거듭 밝혔다.
이날 LG전자 이희영 TV상품기획부장은 LCD TV 기술 발전 과정에 대해 강연했다. 이희영 부장은 "2000년대 초반 CCFL 백라이트를 사용하던 LCD TV는 LED 백라이트로 바뀌었고 퀀텀닷(QD)시트를 통해 색을 풍부하게 키웠다"며 "여기서 더 진보한 것이 LG전자의 나노셀 기술"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2세대 기술인 퀀텀닷은 2~12나노미터(㎚)의 반도체 입자를 통해 각각 다른 색을 내지만 3세대 기술인 나노셀은 1㎚의 균일한 입자로 색의 간섭을 지워 정확하고 풍부한 색을 낸다"고 덧붙였다.
기존 LCD TV는 빨간색을 표현할 때 고유한 색 파장에 노란색이나 주황색 등 다른 색의 파장이 미세하게 섞여 변형된 색을 보여준다. 나노셀은 이러한 노란색과 주황색의 파장을 흡수해 순도 높은 빨강, 초록, 파랑 빛을 내도록 한다. TV는 이 3원색을 섞어 다른 색을 표현하기 때문에 빨강, 초록, 파랑의 순도가 높을수록 표현할 수 있는 색의 범위가 넓어지고 색의 정확도도 높아진다.
이희영 부장은 "LCD TV에서 색 재현력을 높이는 방식은 기술이 적용되는 위치에 따라 세대를 구분한다"며 "1세대는 백라이트 유닛에 기술을 적용하며 2세대는 백라이트 유닛과 패널 사이에 광학필름을 추가로 끼워 넣는다. 3세대는 패널을 개선해 색 재현력을 높이는데 나노셀은 패널에 직접 적용되기에 3세대"라고 설명했다.
나노셀은 편광판에 1㎚ 크기의 물질을 덧입히는 것이다. 이 편광판은 유리 원판과 합쳐져 디스플레이 패널이 된다. 이에 비해 삼성전자의 퀀텀닷 기술은 QD시트를 패널과 백라이트 사이에 붙여 만든다. 패널에 기술을 적용한 나노셀은 3세대이며 퀀텀닷은 이보다 낮은 2세대라는 주장이다. 또한 나노셀이 적용된 편광판을 사용하기에 제품 설계를 변경할 필요가 없고 이론적으로 모든 디스플레이를 나노셀로 생산할 수도 있다.
LG전자 강경진 TV화질팀 연구위원도 목소리를 높였다. 강경진 연구위원은 컬러볼륨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LCD TV는 백라이트를 밝게 켤수록 밝아지지만 자발광 올레드(OLED) TV는 모든 셀이 밝게 켜지는지 일부만 켜지는지에 따라 밝기가 150~1000니트를 오간다"며 "현재 컬러볼륨 국제표준은 자발광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해 개정 작업에 있으며 연말이면 새로운 측정법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올레드 디스플레이 시장이 급격히 커지며 기술 개발도 이어지고 있다. 자발광 QLED도 빠르면 5년, 길면 그 이상 걸려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보며 "현재 경쟁사에서 QLED TV라고 판매되고 있는데 자발광이 아닌 것을 QLED라고 할 수는 없다"며 소비자에게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네이밍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QLED TV라 부르려면 자체적으로 광량 조절이 되어야 하는데 QD필름은 크기가 제각각인 나노 입자로 색을 걸러내는 기술일 뿐"이라며 "학계에서도 인정받지 못한다"고 삼성전자 QLED TV를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