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연구원이 날카로운 못으로 배터리를 관통하는 '관통 시험' 후 이상이 없는 G6 배터리를 들어보이고 있다. /LG전자
LG전자가 프리미엄 스마트폰 G6 배터리의 안전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지난해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 소손 사건 이후 고용량 배터리에 불안감을 느끼는 소비자가 늘어난 것이 대한 조치다.
LG전자는 지난 24일 경기도 평택에 위치한 LG 디지털파크에서 세계 유일의 배터리 안전성 통합 연구소 '배터리 평가랩'을 공개했다. 스마트폰부터 전기차 배터리까지 각종 배터리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배터리 평가랩은 ▲설계상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배터리 설계 안전성 평가실' ▲화재 상황을 실험하는 '배터리 화재 평가실' ▲엑스레이(X-Ray) 등으로 사후 분석을 수행하는 '배터리 고장 분석 시험실'을 갖추고 있다.
LG전자 관계자는 "모든 검증을 한 곳에서 실시할 수 있는 세계 유일의 배터리 안전성 통합 연구소"라고 설명했다.
배터리 평가랩에서는 국제 기준보다 엄격하게 배터리 안전성을 검증하고 있다. 국제 기준에는 없지만 필수적인 자체 검사들을 추가, 전체 배터리 검사 가운데 안전성 검사만 20여개에 달한다. G6 배터리 열 노출 시험의 경우 국제 기준 규격보다 15% 이상 높은 고온에서 테스트를 실시하는 등 기준도 엄격 하다.
LG전자는 배터리에 15.8㎜ 직경의 쇠막대를 올리고 9.1㎏ 무게의 추를 61㎝ 높이에서 떨어뜨리는 '충격 시험', 국제 규격에 존재하지 않는 '관통 시험' 등도 선보였다. 두 시험에서 G6 배터리는 다시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파손됐지만 발화나 폭발은 발생하지 않았다.
LG전자 김성우 제품시험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애완견 등이 스마트폰을 무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며 "발생 가능한 모든 최악의 상황에서 우리 스마트폰으로 인해 소비자가 위해를 입는 일이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교를 위해 LG전자가 선보인 영상에서 다른 제조사의 스마트폰은 G6와 동일한 충격 시험과 관통 시험을 받았는데, 이들 제품은 G6와 달리 불이 붙거나 폭발이 일어났다. LG전자는 실험에 사용한 스마트폰을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3000mAh(밀리암페어시)와 2900mAh 용량의 내장형 배터리를 탑재한 제품"이라며 "3300mAh인 G6보다 배터리 용량이 적음에도 위험성은 더 크다"고 설명했다.
9.1㎏ 추로 15.8㎜ 직경의 쇠막대를 때려 배터리에 충격을 가하는 '충격 실험'을 마친 뒤 발화·폭발을 일으키지 않은 채 파손된 G6 배터리를 LG전자 연구원이 보여주고 있다. /LG전자
김성우 수석연구원은 "스마트폰을 가열해 강제로 폭발시키는 배터리 화재 평가도 있다. 극단적인 화재 상황에서 스마트폰 폭발로 사용자가 다치지 않게 하려는 실험"이라며 "G6는 폭발 시 파편이 철망 안에서 머물러 파괴적이 낮았지만 타사 제품들은 큰 폭발을 일으켜 유리와 쇳조각 등이 철망을 뚫고 연구소 벽에 박히는 모습을 보였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쟁사가 자사 제품 폭발로 여러 안전 대책을 마련했다 하지만 LG전자에서는 이미 행하던 조치들"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LG전자 이석종 MC사업본부 전무는 "G6가 시장에서 큰 호응은 못 받고 있다. 뭔가 더 필요하고 부족해 보이는 스마트폰"이라면서도 "보면 볼수록 마음에 드는 스마트폰이기도 하기에 점차 호응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