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한국인 어금니 신경관, 비아시아인보다 변이 많아

김예미 이대복동병원 치과 보존과 교수/이화의료원



한국인 어금니 신경관, 비아시아인보다 변이 많아

충치나 외상 등에 의해 치아 내부의 신경 조직이 손상되거나 감염이 일어난 경우 신경 치료가 필요하다. 이때 치아의 신경관의 해부학적 형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치료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때 한국인 제2대구치(아래쪽 두번째 어금니)는 신경관 단면이 영어 'C(씨)'자 형태인 C-형 신경관 비율이 비아시아인에 비해 높다는 조사결과가 나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동안 한국인에 대한 신경관 형태 연구가 부족했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신경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대목동병원 치과 보존과 김예미 교수팀은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이대목동병원 치과에서 치료 목적으로 촬영된 콘빔씨티(CBCT) 영상을 이용해 960명의 제2대구치 신경관 형태를 분석했다고 10일 밝혔다.

그 결과 364명(40%)에서 C-형 신경관 형태를 보여 비아시아인의 유병률인 6.20%보다 월등히 높았다. 또한 여성(47%)이 남성(32%)에 비해 C-형 신경관 형태를 더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한국인에서 나타나는 C-형 신경관 형태의 비율은 비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비해 매우 높은 편"이라며 "특히 C-형 신경관에서 독립된 근심설측 치근을 가진 경우가 0.05%, 아주 드문 O(오)-형 신경관 형태가 0.1%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인은 변이가 많고 매우 드문 형태의 신경관을 가진 환자들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신경 치료 전 정확한 해부학적 형태를 파악하는 것이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예미 교수팀의 이번 논문은 치과보존학 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인 'International Endodontic Journal'에 게재됐으며 지난 2월 표지 논문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