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4차 산업혁명 지원을 위한 표준화 역량 결집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국가표준심의회를 통해 부처 합동 '2017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을 확정·고시했다고 16일 밝혔다.
주형환 산업부장관을 의장으로 하는 심의회는 4대분야 12개 중점 추진과제에 따른 102개 세부과제를 확정, 부처 합동으로 지난해보다 7.6% 증가한 2136억원의 예산을 투자하기로 했다.
표준은 제품·서비스의 품질과 안전의 기준을 제시하고 시스템 및 산업 등의 융합과 연결을 가능하게 해주는 수단으로서 4차 산업혁명의 성공을 위한 열쇠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사물인터넷(IoT), 5세대이동xhd신(5G), 의료정보, 자율주행차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분야를 적극 발굴하고 표준개발 및 국제 표준전문가 양성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우선 산업부는 4차 산업혁명 관련 12대 신산업 표준화 분야를 선정하고 국가·국제표준 개발을 중점 추진한다.
실제로 산업부는 우리기술로 착용형 스마트기기 표준화를 통한 세계 시장 선점을 위해 지난 2월 IEC 국제표준화기구에 '착용형스마트기기' 기술위원회를 신설했다.
산업부 12대 신산업 분야는 ▲전기자율차 ▲스마트친환경선박 ▲IoT가전 ▲로봇 ▲바이오헬스 ▲항공·드론 ▲프리미엄소비재 ▲에너지신산업 ▲첨단신소재 ▲AR/VR ▲차세대디스플레이 ▲차세대반도체 등이다.
미래부는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등 'K-ICT 10대 전략산업' 표준화를 위해 빅데이터시스템 연동 등 4차 산업혁명 지원형 표준을 집중 개발한다.
미래부 10대 전략산업 분야는 ▲5G △UHD ▲디지털콘텐츠 ▲스마트디바이스 ▲IoT ▲지능정보 ▲클라우드 ▲빅데이터 ▲소프트웨어(SW) ▲정보보안 등이다.
복지부는 가톨릭중앙의료원 등 유관기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보건의료정보 표준화를 통한 의료-정보기술(IT)융합 기반 조성을 추진한다.
복지부는 의료기관간 진료기록 교류서비스를 통해 보건의료용어 및 진료정보교류 표준 보급, 보건의료정보표준관리시스템을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또 국토부는 교통정보 서비스의 상호호환성 및 연계성 고도화를 위한 지능형교통체계(ITS) 표준화로 자율주행차 인프라를 조기 구축한다.
식약처는 사물인터넷 시대에 대비한 개인 건강관리 제품의 표준화로 스마트·융복합 의료기기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강병구 국표원 표준정책국장은 "올해 부처별 시행계획이 착실히 추진될 수 있도록 부처간 협력을 강화하고, 스마트 제조, 전기자율차 등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의 표준화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