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가 IT 시스템 무료진단 서비스 '루킨'에 무료 보안진단 서비스를 추가했다. /삼성SDS
자동차 내장 플라스틱 제조업체인 H사를 운영하는 김 대표는 최근 고민이 생겼다. 막대한 비용을 들여 투자한 사내 시스템 서버가 지난 3월부터 갑자기 느려지고 다운되는 일이 잦아진 것이다.
자체적으로는 시스템 오류의 정확한 원인조차 파악하기 어려웠고, 제조사를 불러 시스템 진단을 받자니 고액의 비용을 감당할 수 없었다.
그러던 차에 IT 시스템 무료진단 서비스인 '루킨'를 알게 됐고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정회원 가입을 한 뒤 진단 스크립트를 다운받아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진단을 수행했다.
진단결과 총 40여개 취약점이 도출되었고 메모리를 과다 점유하는 이상 프로세스도 감지됐다.
김 대표는 곧바로 전산담당자에게 불필요한 프로세스를 확인 후 삭제시켰고 메모리 점유율이 95%에서 35%로 낮아지면서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했다.
삼성SDS가 최근 큰 호응을 얻고 있는 IT인프라 무료진단서비스 루킨에 보안진단 기능을 추가하고 서비스 범위도 확대했다고 17일 밝혔다.
루킨 서비스는 오픈 한 달 만에 1000여개 기업회원이 가입하며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삼성SDS는 "글로벌 IT 업체들의 진단 서비스는 수천만원에서 수억원에 달하는 실정"이라며 "예산상의 문제로 IT시스템 진단이 절실했던 중견기업들의 회원가입이 가장 많았다"고 설명했다.
루킨은 지능형 진단 분석 엔진을 이용해 1000개에 달하는 항목을 최장 30분 내에 종합적으로 진단해 취약점과 개선점을 파악한다. 이번에 새롭게 업그레이드된 서비스는 보안 취약점 진단서비스다. 컴퓨터 운영체제인(OS) 윈도와 리눅스를 대상으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기준과 삼성SDS가 오랜 경험을 통해 만든 보안점검 항목들 500여개를 적용해 강력한 보안진단 기능을 더했다.
삼성SDS는"IT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보안 기능 추가를 해달라는 고객 요청사항이 가장 많았다"며 "이를 반영해 보안 취약점 진단 서비스 기능을 추가했고 향후 보안진단 대상도 지속적으로 늘려나갈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기존 무료진단 서비스범위도 확대했다. 국산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DBMS) 티베로, 오픈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 MySQL을 포함해 스토리지 분야까지 범위를 넓혔다. 사용자경험(UX)도 획기적으로 개선됐다. 회원들의 진단점수 분포를 확인할 수 있어 자신의 회사의 IT시스템 운영 수준을 평가해 볼 수 있도록 변경됐다. 진단 결과와 조치 가이드 출력(PDF)이 가능해 보고서 작성도 한결 쉬워졌다. 루킨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루킨 홈페이지에 접속해 회원 가입을 하면 된다.
한편 삼성SDS는 무료 보안진단 서비스 출시 기념으로 '루킨왕 선발대회' 이벤트를 마련했다. 진단점수 최고점, 진단 점수 최고 상승률 등 회원사를 선정하여 무료진단 컨설팅을 제공하고 푸짐한 선물도 제공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