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재계

영업·재무 등 두산그룹 효자가 따로 없네...밥캣에서 배우는 경영전략

박정원 (주)두산 회장.



975억원, 10.1%. 두산밥캣의 1·4분기 영업이익과 영업이익률 전망치다. 취임 2년 차인 박정원 호(號)의 2년 연속 전계열사 흑자 구도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돈 먹는 하마'였던 두산밥캣이 백조로 거듭나며 두산의 '캐시카우'로 떠오른 것.

시장에서는 밥캣을 '백조'로 키운 두산가(家)의 경영전략에 큰 관심이다. 그도 그럴 만하다. 금호아시아나그룹과 STX그룹 등 인수합병(M&A)로 성장한 적잖은 그룹들이 승자의 저주로 문을 닫았다.

두산은 박 회장이 2016년 취임하면서 '4세 경영체제'가 됐다. 두산은 그간 형제경영의 가치를 이어가며 형제가 순서대로 회장직을 맡으면서 회장이 바뀔 때마다 새로운 경영전략을 내세우는 등 변화를 줬다. 하지만 4세대가 바뀌는 와중에 변하지 않은게 있다. 경영자의 원칙 있고 일관성 있는 전략이 바로 국내 최장수 기업 두산의 성장 동력이자 핵심 DNA이다.

또 다른 힘은 '사람'이다. 두산은 홈페이지를 통해 "향후 100년 이상의 성공을 이끌 경쟁력의 원천이다"며 '사람이 미래다'라는 2G(Growth of People, Growth of Business)전략을 내세운다.

2015년 이후 두산그룹 주요 재무일지 자료=KB증권



◆세대를 잇는 변화와 원칙 있는 경영

두산밥캣은 한국에 글로벌 본사를 두고 미국 노스다코타에 주요 생산기반을 가진 세계 1위의 소형 건설 중장비 회사다. 전 세계 20여 국에 31개 법인 및 지사를 운영하고 있다.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의 파고를 넘어서며 2011년 흑자 전환 후 지속적인 성장세다. 지난해에도 3조9499억원의 매출을 올렸고 414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올해도 장밋빛 미래를 예고하고 있다.

17일 증권가에 따르면 두산밥캣의 1·4분기 매출액 평균추정치(컨센서스)는 9692억원이다. 영업이익은 975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영업이익률은 10.1%에 달할 전망이다.

밥캣이 처음부터 효자는 아녔다.

두산그룹이 밥캣을 인수한 것은 2007년이다. 당시 국내 기업의 해외 업체 인수로는 사상 최대인 49억달러(약 5조7000억원)에 달했다. 차입매수(LBO) 방식의 인수합병으로, 39억달러를 외부에서 조달했다.

하지만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에 두산 그룹은 승자의 저주에 빠졌다. 가까스로 국내 금융사의 신디케이트론으로 자금을 막을 정도였다. 밥캣의 영업현황도 최악으로 빠져들었다. 노스다코타주 비즈마크 공장이 문을 닫는 결정을 내려야 했고 2008,2009년 두 해 동안 적자 규모만 2조5000억원에 달했다. 모회사인 두산인프라코어가 1조원 규모의 자본을 추가로 투입해야 할 정도였다.

시장에서는 "탈이 났다. 두산이 오래 버티기 힘들다"며 비아냥하는 목소리가 흘러나왔다.

"밥캣에 대한 걱정은 소통의 타이밍을 맞추지 못한 탓이다. 실체적인 문제가 아니다. 불황기에 방어적이고 소극적인 전략보다는 적극적인 경영으로 회복기에 대비하겠다"(2008년 박용만 두산인프라코어 회장, 고(故) 명계춘 여사의 빈소)

그의 뚝심은 통했다. 하지만 2010년 3·4분기부터 밥캣은 흑자를 내면서 환골탈태한다. 두산건설로 인해 그룹 재무위험이 부각됐을 때도 밥캣은 '캐시카우' 역할을 했다. 두산인프라코어도 지난해 흑자전환(4908억원)하며 밥캣 덕을 톡톡히 보고 있다. 현재 보유지분은 59.3%이다.

두산가의 4세로 그룹 총수가 된 박정원 회장에게 있어서도 밥캣은 없어서는 안 될 존재다.



두산밥캣 지속성장을 위한 지역 제품 전략



그가 두산그룹의 새로운 100년에 씨를 뿌렸다면, 박정원 회장은 열매를 맺고 물을 주고, 거름을 뿌리는 오너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공격적인 경영을 하겠다. 두려움 없이 도전, 새로운 100년의 성장을 함께 만들어나가자" 두산가의 4세로 그룹 총수가 된 박 회장이 취임 일성으로 한 얘기다. 빈 말이 아녔다. 지난해 10월 초 수요 부족으로 두산밥캣의 상장 일정을 연기 한 지 한 달 여 만에 다시 다시 공모가를 낮춰 증시의 문턱을 넘어섰다. 두산은 두산밥캣 상장을 통해 1조원이 넘는 현금을 확보했다.

그룹 4세 첫 회장인 그의 입장에서 위기 탈출 리더십의 첫 관문을 넘은 것이다.

남은 퍼즐은 두산그룹 재무구조를 탄탄히 하는 것이다. 두산그룹의 차입금은 14조원 규모다. 두산중공업 7조8000억원, 두산인프라코어 3조7000억원, 밥캣 1조5000억원, 두산건설 8800억원 등이다. 주요 자산 및 사업부문 매각 등을 통해 자금 부족분을 충당하고 차입금을 갚고 있다. 이 과정에서 밥캣이 상당한 역할을 한다.

◆박정원 회장의 리더십, 두산의 미래는?

두산은 올해로 121살이다. 하지만 두산은 스스로를 '청년 두산'이라고 말한다. 가장 오래된 기업이긴 하지만 동시에 가장 빠르게 변화하며 성장하기 때문이다.

새로운 100년은 박정원 회장이 주도하고 있다.

그는 이미 ㈜두산 부회장, ㈜두산 지주부문 회장을 맡으면서 두산그룹의 주요 경영전략을 진두지휘한 바 있다. 그는 지난 99년 ㈜두산 부사장으로 상사BG를 맡은 뒤 사업 포트폴리오를 수익 사업 위주로 과감히 정리해 취임 이듬해인 2000년 매출액을 30% 이상 끌어올리기도 했다. ㈜두산 지주부문 회장을 맡았을 때도 연료전지, 면세점 사업 진출 등에서 핵심 역할을 했다.

경영능력에 대한 시장 평가도 좋다. 지난 2015년 경제개혁연구소가 전문가 50명을 대상으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 재벌 총수 일가 승계자 11명에 대해 경영능력 평가를 한 보고서를 보면, 박정원 회장은 43.41점(100점 만점)을 받았다. 11명 가운데 신동빈(45.97점) 롯데그룹 회장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구원투수로 등장한 박 회장은 올해 선발 의지를 불태운다. 그는 올해 신년사에서 "근원적 경쟁력 확보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지속해서 확대하겠다. 신규 사업 및 신규 시장을 선도적으로 개척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하루가 멀다고 전국 곳곳의 사업장을 돌며 두산의 체질 개선도 고민하고 있다.

박 회장의 의지는 올해 목표에서도 잘 드러난다. 두산은 올 매출 목표를 지난해보다 16.5% 높은 19조 1257억원으로, 영업이익 목표치는 35.8% 증가한 1조 2460억원으로 잡았다.

두산그룹 고위 관계자는 "박 회장은 '근자성공(勤者成功)' 정신과 전략적 사고를 중시한다"며 "끊이 없이 새로운 것을 추구하고, 도전해서 안 될게 없다는 게 그의 생각"이라고 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