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에 위치한 GS파워 열병합 발전소 전경. /GS에너지
고사 위기에 놓인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사업이 19대 대통령 취임으로 회생의 기회를 잡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10일 에너지 업계에 따르면 청정에너지인 LNG 발전 사업자들이 문재인 신임 대통령의 에너지 정책을 시장 확대의 기회로 활용할 전망이다. 석탄화력발전과 원자력 발전을 지양하겠다는 정책을 시행하려면 LNG 발전이 대안으로 떠오를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석탄화력발전소를 규제하는 '미세먼지 없는 푸른 대한민국' 공약과 탈원전·친환경 에너지원 활용을 담은 '안전하고 깨끗한 대한민국 에너지 정책' 공약을 내세운 바 있다.
이들 공약의 세부 실행계획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은 원자력 발전소와 석탄화력발전소 신규 건설이 전면 중단된다. 건설이 진행 중인 발전소는 공정률이 10% 미만이면 원점에서 재검토하며 신고리 5·6호기 원전 공사도 중단된다. 노후 원전인 월성 1호기는 폐쇄한다는 계획이다.
문재인 정부의 규제 대상인 석탄화력발전은 국내 전력 생산량의 39.4%, 원자력 발전은 32.3%를 차지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1.1%에 불과한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를 2030년까지 20%로 끌어올린다는 구상이다. 친환경 발전 연료에 부과하는 세금도 인하해 친환경 청정연료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하지만 석탄화력발전소와 원자력발전소의 전력 생산량이 많기에 태양광과 풍력 발전 육성으로는 충분히 대체할 수 없다는 것이 업계 견해다. 태양광 발전의 경우 태양광을 전기로 전환하는 효율이 20%를 하회하는 데다 북반구라는 지리적 한계로 인해 태양광의 양도 충분치 않기 때문이다. 풍력발전 역시 지속적으로 강한 바람이 불어야 대형 프로펠러를 계속 돌릴 수 있기에 동해안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충분한 바람을 얻을 수 있는 지역이 많지 않다.
이 때문에 태양광과 풍력 발전의 대안으로 제시되는 친환경 발전원이 액화천연가스(LNG)다. LNG발전은 발전 용량이 32.6GW에 달해 32GW인 석탄화력발전과 비등한 수준이다. 석탄화력에 비해 온실가스는 절반 이하로 배출하며 미세먼지는 1235배 적게, 초미세먼지도 1682배 적게 만든다. LNG는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꼽히지만 발전소 가동률은 턱없이 낮다. 석탄화력발전소의 가동률은 90%에 달하지만 LNG발전소 가동률은 38% 수준이다.
문제는 발전단가 중심의 전력매입 순위와 태양광 발전 육성 중심의 계통한계가격(SMP) 정책이다.
국내 전력 생태계는 각 민자 사업자가 생산한 전기를 한국전력이 매입하는 식으로 구성됐다. 한국전력은 발전단가로 전력매입 순위를 정하는데 지난해 기준 1㎾h당 발전단가는 원자력 5.53원, 석탄(유연탄)은 34.71원이고 LNG는 80.22원이다. 발전단가가 비싼 만큼 한국전력에서 구매하지 않기에 발전소에서도 생산을 줄이는 것이다.
SMP 제도도 문제가 된다. 한국전력은 전력을 매입할 때 고정된 가격인 SMP를 제시한다. SMP가 낮을수록 저렴한 가격에 전기를 사들여 한국전력이 이득을 보는 구조다. 다만 태양광 등 친환경 전력에는 일정 가중치를 둬 고정된 SMP보다 많은 금액을 지불한다. 가령 SMP가 80원이라면 LNG 발전 사업자가 한국전력에 전력 1㎾h를 판매할 경우 0.22원을 손해 보게 된다. 하지만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가동하는 태양광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은 5배의 가중치가 적용돼 1㎾h당 400원에 매입되는 식이다.
업계 관계자는 "태양광 등의 발전효율이 당장 높아질 수 없는 만큼 친환경 발전을 육성하겠다면 LNG가 현실적인 대안"이라며 "원자력발전과 석탄화력발전을 LNG 발전으로 대체해 환경오염을 줄여야 한다. SMP를 전원별로 책정하고 에너지원별 구입 비율을 조정하는 방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